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겸손한꽃게197
겸손한꽃게19723.07.10

화성은 어떤 물질로 구성되어 있나요?

화성은 어떤 물질로 구성되어 있나요?

지구인이 살수도 있다는 화성은 지구처럼 물과 산이

있는건가요? 땅의 성분도 궁금하고 물이 지구처럼

많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와 가장 닮은 행성이 화성이라죠..ㅎ

    화성은 주로 암석으로 이뤄졌는데...현무암,석회암,각반함,성석암 드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구요

    토양에는 레고라이트라고 하는 미량 광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답니다. 화성이 붉은 색을 띄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구요

    또한, 화성에는 얼음이 존재할 수도 있다고 하네요.

    특히, 극지방이나 고지대에서는 대기 온도와 압력에 따라 이 같은 얼음이 발견될 수 있다고 예측하구요

    화성 대기는 지구보다 훨씬 높은 함량의 이산화탄소로 대기가 구성되어 있답니다. ㅎ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물리적 특성

    화성은 붉게 타는 듯한 외형을 가지고 있다. 화성의 표면적은 지구의 4분의 1밖에 되지 않으며, 질량은 10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 화성은 두 개의 작은 위성인 포보스와 데이모스를 가지고 있다. 화성의 대기권은 매우 얇으며, 표면의 기압은 7.5밀리바밖에 되지 않는다. 화성 대기의 95%는 이산화탄소로 덮여 있으며, 이 밖에 3%의 질소, 1.6%의 아르곤과 약간의 산소로 이루어져 있다.


    지질

    궤도선의 관측과 화성 기원의 운석에 대한 분석 결과에 의하면, 화성의 표면은 기본적으로 현무암으로 되어 있다. 화성 표면의 일부는 지구의 안산암과 같이 좀 더 이산화규소가 풍부하다는 증거가 있으나 이러한 관측은 규산염과 같은 유리의 존재를 통해서 설명될 수도 있기 때문에 결정적이지는 않다. 표면의 대부분은 산화철의 먼지로 덮여있다. 화성의 표면에 일시적이나마 물이 존재했다는 결정적인 증거가 있다. 화성 표면에서 발견된 암염이나 침철석과 같이 대체로 물이 존재할 때 생성되는 광물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화성에서는 다량의 얼음이 발견되었고,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화성 표면에서의 액체상태의 물은 낮은 대기압으로 인하여 존재 할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한편 화성의 극관은 물로 구성되어 있어, 이 극관에 존재하는 물은 화성의 표면을 11m의 깊이로 뒤덮기에 충분히 많은 양이 존재한다.

    출처 : 위키백과 - 화성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성은 지구가 가장 흡수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단지 화성 내 공기 중의 산소의 양이 지구보다는 상당히 부족한 점, 일교차의 크기가 현재 지구 상의 생물체가 견딜 수 없을 정도로 높낮이 차이가 큰 점 등 생물이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가장 밀접하지만 지구 상의 생물이 살 수 있는 환경에는 적합한 수준은 아닙니다.


  • 화성은 지구와 비교하면 대기압이 매우 낮아서 지구처럼 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화성의 대기는 이산화탄소가 약 95%, 질소가 약 3%, 아르곤이 약 1.6%이고, 다른 미량의 산소와 수증기 등을 포함합니다.

    화성은 극 지방이 얼음과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얼음 지대로 덮여 있으며 발레스 매리너리스(Valles Marineris) 또는 화성의 흉터라고 불리는 거대한 계곡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성은 지구와 다른 행성이지만, 지구와 유사한 환경 요소를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화성의 구성물질과 환경은 여러 가지 연구와 탐사를 통해 여전히 연구 중인 분야입니다.

    화성의 지각은 주로 화산, 사막, 평야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지구와 비교했을 때 화성의 표면은 지구보다 많은 화산 활동과 운동이 있었으며, 화산재와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화성의 토양은 지구와 유사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화성 토양 중에서 물질의 함량과 유형을 연구하는 것은 화성에서 생명의 존재 가능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물에 대해서는 화성 표면에서 물이 존재했던 흔적들이 관측되었고, 얼음으로 존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증거들은 화성에서 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물이 화성에서 지구처럼 많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한 답이 없으며, 더 많은 연구와 탐사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화성은 지구와 다른 행성이지만, 그 구성물질과 환경은 일부 유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미래의 탐사를 통해 더 많은 정보를 얻게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성은 주로 규산염 광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화성에는 물이 얼음으로 존재하며 산도 존재합니다. 그러나 지구와 달리 화성의 대기압은 매우 낮고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어 극지방에 물이 얼어붙어 있습니다. 또한 화성의 대기에는 산소가 매우 적어 생명체가 살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성 표면은 기반암석인 "바즈얼트"와 "바솔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암석은 화성의 지각적 특징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화성에는 다양한 광물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헤마타이트"는 화성표면의 붉은 색을 형성하는데 기여하며, "마그네타이트"는 화성 토양에서 발견되는 광물 중 하나입니다.물이 존재했던 증거가 발견되었습니다. 이는 강, 호수, 바다 등의 형태로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현재는 얼음 또는 수증기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화성 대기의 약 95%는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화성의 대기압과 온도를 형성하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성은 태양계의 네 번째 행성이다. 산화철로 인한 붉은 빛이 감도는 사막 지형을 가지고 있다.[8]


    지구를 제외한 태양계 내 모든 행성 중 표면 탐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행성이며, 물의 존재가 확인되고 테라포밍의 가능성이 점쳐지는 등 인류 문명의 우주 개발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여겨지는 천체이다.[9] 화성 표면에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이 과거부터 논의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화성에서 생명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애초에 표면온도도 평균수치가 지구의 남극 수준으로 낮은데다가 대기도 희박하고 태양풍을 막아주는 행성의 자기장도 약해서 고등 생명체가 살기에는 여전히 혹독한 환경이고, 생명체가 만약 존재한다고 쳐도 미생물정도일 것이다.

    2. 물리적 특성[편집]


    화성의 자전주기는 약 24시간 37분으로, 24시간인 지구와 비슷하며, 공전주기는 약 687일[10]로, 지구보다 약 1.88배 길다. 남극과 북극에는 극관이라는 거대한 드라이아이스 덩어리가 있으며, 이는 여름에는 작아지고 겨울에는 커진다.


    지구에서 관측할 수 있는 천체 중 달과 금성, 그리고 목성 다음으로 밝다. 단, 충에 위치한 경우 목성보다 겉보기 등급이 미세하게 더 낮다. 표면에 산화철이 많아 붉게 빛나며, 지구에서 육안으로 보기에도 유독 주황빛을 띠어 다른 천체와 쉽게 구분된다. 베텔게우스와 같이 지구 대기 안에서 붉으면 그저 붉게 보이는 별이 있지 화성과 같이 아주 밝게 빛나는 주황색 별은 상당히 흔치 않기 때문이다. 대기권은 이산화 탄소와 소량의 질소와 아르곤, 그리고 극미량의 산소로 구성되어 있다. 의외로 화성 대기에서 산소의 비율은 지구 대기의 이산화 탄소 비율보다 높으나, 화성 지표의 기압이 0.0063기압 밖에 되지 않는 관계로 생명체가 호흡하기에는 부적합하다. 0.0063기압은 지구상에서 해발 80km[11] 정도의 고도에 해당되는 기압으로 거의 진공 상태나 다름없는 정도라 공기가 존재한다고는 거의 볼 수 없는 정도다. 공기가 거의 없기 때문에 평균 온도는 영하 63도로 낮고 너무 낮은 기압으로 인해 물이 끓는 온도가 섭씨 27도[12]밖에 되질 않아 물로 구성된 생명체가 살 수 없는 환경이다.


    화성에 대기가 희박해진 이유는 태생적으로 작은 질량으로 인해 중력이 약해[13] 산소와 같이 분자량이 작은 기체를 많이 잡아둘 수 없음과 동시에 화성의 핵이 지질학적으로 식어버린 상태이기 때문에[14] 행성 자기장이 지구 자기장의 1/800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약한 자기장으로는 태양풍으로부터 행성을 보호할 수가 없어 태양풍으로 인해 화성의 대기가 거의 다 날아가 버려 화성에는 공기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되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성의 대기 95퍼센트정도는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져있어 지구에서처럼 숨을 쉬는것은 불가능합니다.

    토양의경우 식물이 생장하는데 필요한 영양소가 풍부하지만, 독성물질도 매우많다는 의견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