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명랑한잠자리49
명랑한잠자리4922.12.16

알레르기성 알러지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나이
40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코로나 이후 알레르기성 알러지가 올라옵니다

저녁쯤 되면 너무나도 가려운데 긁으면 긁은부분이 붉게 올라옵니다

피부과에서 알러지 약을 복용하는데 잘 듣질 않네요

피부과 선생님은 그냥 계속 약을 먹어야한다고 하고 너무나 힘드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알러지도 일종의 면역반응입니다.

    면역기능 회복이 되면 알러지가 호전이 될것으로 사료됩니다.

    그러므로 지금은 알러지역을 복용하면서 지내시는것이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8

    안녕하세요. 피부과 전문의 노동영 의사입니다.

    두드러기 때문에 걱정이시군요.

    급성 두드러기는 보통 수 일 혹은 수 주안에 증상이 좋아집니다. 두드러기가 생기는 원인을 음식이나 약에서 찾으려고 하시는 분들이 많으나 두드러기의 대부분(절반이상)은 원인 미상입니다. 원인을 찾으려고 하기보다 증상조절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드러기 치료는 약을 잠시 먹고 완치한다는 개념보다, 두드러기가 발현되는 기간동안 증상을 항히스타민제라는 약으로 지속적으로 억제 시켜준다는 개념으로 생각하셔야 합니다.

    두드러기가 6주이상 지속된다면 만성두드러기로 분류하여 치료기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답변이 되었나요?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시면 더욱 좋은 답변이 순환되는데 큰 힘이 됩니다.




  • 알러지는 알러지를 유발하는 항원에 노출되면 몸에서 감작이라는 과정을 거쳐서 몸에 발생하며 이후 추가적인 노출이 될 경우에 두드러기,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게 되는 질환입니다. 이러한 감작 과정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은 그 어떤 것이라도 될 수 있습니다. 기존에 섭취하거나 노출된 물질 들 중 갑작스럽게 감작이 되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안타깝지만 원인 물질을 모르는 경우도 많습니다. 아쉽지만 현대 의학기술로는 알러지 항원을 확실하게 임의적으로 탈감작 시킬 방법은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원인 물질을 최대한 회피하고, 증상 발생시 항히스타민제 등 약물을 복용하며 증상을 조절하는 대증적인 치료를 하며 자연스럽게 탈감작이 되도록 기다리는 수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피부묘기증 등의 알레르기 질환이 발생하신 것 같습니다.

    우선 충분한 보습 및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시면서 증상이 호전되길 기다리시는 방법이 가장 추천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호 의사입니다.

    가려움증(소양감)은 가장 흔한 피부증상으로 피부질환 뿐만 아니라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외부 자극과 무관하게 나타날 수 있지만 가벼운 기계적 접촉이나 주위 온도 변화, 화학 물질이나 전기적 자극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으며 저녁에 증상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려움증을 없애기 위해 긁거나 문지르면 상처가 생기거나 피부가 갈라지고 색소침착이 생길 수 있습니다. 피부 질환에 의한 가려움증인지 전신 질환에 동반된 가려움증인지 원인을 확인하여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피부를 시원하게 하는 연고나 스테로이드 연고 등 도포제를 사용하고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제 등 먹는약을 사용하는 치료가 일반적입니다. 더불어 자극적인 노출을 피하고 긁는 습관은 삼가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피부 건조에 의한 가려움증은 너무 자주 씻거나, 때를 심하게 벗기거나, 뜨거운 목욕으로 인해 피부가 건조해 질 때 발생하며 샤워 후 몸이 건조해지기 전에 물기만 닦은 후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보습제를 충분히 발라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긁은 부분이 붉게 올라오는 경우 묘기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묘기증은 일종의 압력자극에 대한 알러지 반응으로, 완전히 치료하기는 어렵고 최대한 피부를 손대지 않고, 증상 발생 시 증상조절을 위해 약을 복용하시는 것이 최선입니다.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해당하는 증상이 지속되면 정확히 알러지 검사 하시어 알러지 원을 찾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후 그에 맞게 대처하는게 맞겠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강정우 의사입니다.

    알레르기과 알러지는 동일한 의미이며, 두드러기가 문제인 것 같습니다. 두드러기와 코로나 와의 연관성은 명확하지 않으며 특정 부위가 아니라 온 몸이 가렵고 피부엔 특별한 병변이 없다면, 여러가지 항원에 의한 전신적 두드러기 또는 가려움증 등 알러지 반응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경구 항히스타민제 등으로 증상 호전여부를 볼 수 있고, 증상 심할 경우에는 피부에 스테로이드 연고를 단기간 도포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 지속시 전신 가려움을 유발할만한 다른 원인을 찾아보거나 항원검사 등을 통해 원잉 항원에 대한 검사도 해 볼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