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기발한파리23
기발한파리2323.11.27

제2차세계대전에서 일본은 왜 미국을 먼저 공격했나요?

안녕하세요.


제2차세계대전 관련 영상이나 컨텐츠를 보면 전쟁에 참여하지 않던 미국을 일본이 진주만 공습으로 인하여 참전했다는 내용이 많이 나오는데 그럼 왜 일본은 잠자고 있던 미국을 공격하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당시 일본은 태평양 일대에서 세력을 확장하고 있던 시기로 이를 저지하기 위해 미국 루즈벨트 대통령은 석유를 포함한 모든 수출을 일본에 금지합니다.

    이 수출금지의 해제조건은 일본이 획득한 모든 영토를 포기하는 것이었는데 당연히 일본은 거절, 미국의 수출금지 조건은 심각한 것으로 일본은 석유를 80%를 미국에서 수입하고 있던 상황에 미국의 석유보급 차단은 일본을 군사적, 경제적으로 압박하는 조치였습니다.

    결국 일본은 동남아지역의 유전을 확보하는 것으로 작전을 바꾸는데 이 태평양일대를 점령하기에 미국의 군사력이 버티고 있는 진주만이 걸렸던 일본은 미국의 기세를 꺾기 위해 진주만 공습을 감행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일 전쟁 이후 일본 제국의 과격한 군사적 행동에 대해 미국은 일본 제국을 대상으로 한 경제제재로 석유 금수 조치와 철강 수출 제한 조치를 시행했습니다.

    이와 같은 미국의 일본 제재에 대해 일본은 전쟁의 승리를 위해서는 미국에 대한 공격이 필수적으로 판단해 진주만을 공습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제가 보는 가장 큰 이유는 석유의 문제라고 봅니다.

    1941년에 미국(America), 영국(Britain), 중국(China), 네덜란드(Dutch), 이 4개국은 일본에 전략물자수출을 금지하는 소위 말하는 'ABCD 포위망'을 형성시켰습니다. 이것이 일본 입장에서는 치명타였는데, 전력물자에는 당연히 석유도 포함되었고, 당시 일본 전체 석유 수입의 80% 이상을 미국에서 수입하는 상황이었습니다. 당시 일본은 석유재고량은 평시 3년분, 전시 1년 반이었고, 중일전쟁중이라 석유가 더 필요한 상황인데 미국의 석유수출 금지는 일본에게 치명타였습니다.

    이에 일본은 진주만을 타격함으로 이를 해결해 보려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어차피 일본은 이래 망하나 저래 망하나 망할 가능성이 큰 상황이었는데, 이런 상황이다보니 본의 아니게 무리수를 둔 것이 바로 진주만 기습입니다. 이 진주만 기습으로 인해 사실상 미국이 참여하였고, 독일, 이탈리아 등의 추축국이 패전하게 되는 결정적 계기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이 태평양 지역의 패권을 노리던 미국에 최대 걸림돌이었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파워엘리트와 루스벨트 대통령은 전쟁을 원하지 않는 의회를 설득하기 위해 일본이 먼저 침략하도록 자극하는 책략을 썼고 중국을 침략한 일본에 즉각적인 철수를 요구하며 석유 등 필요한 전쟁물자를 조달하지 못하게 방해했다고 합니다. 일본은 유럽에서는 독일이 유럽을 막어 줄것이라고 확신 했고 자신들이 미국을 막는데 성공 하면 전쟁에서 승리 할 수 있을 것이란 판단을 한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