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호기로운노린재247
호기로운노린재247

2차 무지개가 1차 무지개보다 한번 더 반사되는 이유?

1차 무지개는 한번 반사되는데 2차 무지개는 왜 두번 반사되는건가요? 2차 무지개가 1차 무지개보다 한번 더 반사되는 과학적 이유를 알려주세요 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럭스마가린
      럭스마가린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태양광이 대기중 물방울에 의해

      산란되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산란의 종류에는 세가지가 있는데,

      무지개는 태양광의 파장이 입자(여기서는 물방울이 되겠죠)의

      반경보다 매우 크기 때문에 입자속에서 굴절과 반사를 거치게 됩니다.

      이때, 태양광이 입자속에서 굴절-반사-굴절 하면

      기존의 무지개가 뜨며,

      입자속에서 굴절-반사-굴절(반사)-굴절 하면

      쌍무지개가 뜹니다.

      즉, 두번째 굴절시점에 반사가 함께 일어남으로써, 무지개가 두개가 뜨는 것이죠.

      그래서 쌍무지개중의 하나는 흐리게 나타납니다.

      무지개가 세개가 뜨려면,

      태양광이 입자 속에서 굴절-반사-굴절(반사)-굴절(반사)-굴절 의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이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무지개가 세개가 동시에 뜨는일은 없습니다.

      한 물방울 안에서 빛이 두 번 굴절하고 반사되는 현상이기 때문에 1차 무지개의 바깥쪽에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