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금리인상이 언제쯤 좋아질까요?
금주 우리나라는 베이비스탭을 하엿는데 체감상으로 무뎌뎌진건지 조금식 상황이 상승 꼭대기에서 내려가는 추세로 변경된 것처럼 저는 느끼는데 전문가님들은 어떻게 보시나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전세계적으로 현재 물가가 완화되고 있지만
현재도 상당히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당분간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상당히 낮아보입니다만 미래는 어떻게 전개될 지 알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연준의 공격적인 긴축 행보로 인해 미국에 경기침체가 나타날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이를 수습하고자 연준이 예상보다 이른 시기에 금리 인하로 정책 방향을 전환할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2023년 상반기부터 금리 하락이 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상승과 금리인상으로 전세계인들이 자산가격 하락 등 좋지 못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최근 물가가 어느정도 잡히고 있다는 지표들이 조금씩 나오고 있으며,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겠지만 조금씩 정점은 지나갔다고 판단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내년 상반기정도까지는 어느정도 금리인상이 계속될 가능성이 높아보이나, 속도조절이 될 것이고, 내년에 올해처럼 엄청난 금리인상정책이 다시 나오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일 한국은행은 금리 인상 폭을 최소화 하며 베이비 스텝급인 0.25%로 제한했습니다. 금리 인상 기조도 꼭지를 향해 하고 있고 단기간 큰 폭의 금리를 미국 등 주요국들이 인상하여 향후 경기 상황에 따라 금리 유지 및 인하 여지가 커졌습니다. 내년 상반기 중 경기는 어느 정도 바닥을 찍고 하반기부터는 유동성 공급과 금리 인하를 시작으로 경기가 어느 정도 살아 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상합니다.
물론 올해 돌발 변수였고 에너지와 곡물 가격 폭등의 단초를 제공한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종식, OPEC+의 감산 철회 등이 있으면 금리 인상의 이유를 댔던 물가가 제어되면 경기 회복 시기와 속도는 빨라질 질 수도 있습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