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선진국들 중 기술직과 현장직 선호도가 낮은 이유?
대한민국의 직업 관련 질문을 드립니다. 일본은 잘 모르겠고, 유럽이나 미국은 현장직과 기술직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좋고, 선호도도 높습니다
그런데 같은 선진국인 대한민국의 경우엔 기술직 및 현장직보다 사무직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처럼 사람들 시선 의식하면서 사는 나라들이 많지는 않을거 같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남의 말 하기도 좋아하고 속칭 노가다 뛴다고 하면 돈을 많이 벌어도 좀 이상하게 보는 시선들이 많죠
그러니 대기업 사무직을 선호하고 현장직 기술직을 좀 아직도 무시하는 경향이 있는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부터 인식이 공부 못하면 기술배워야 한다는 말이 있었기 때문에 한국인들 사이에
깊게 남아 있는 것입니다.
실제로 기술이나 현장직의 급여는 사무직보다 높은 편임에도 편한 곳에서 일하고 싶은 한국인들의
니즈가 반영되어 현장과 기술직에는 벌써부터 외국인 노동자로 교체가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술직이나 현장직의 경우 힘들다는 인식이 강합니다.
또한 급여도 사무직보다 적은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이런 원인은 오랬동안 유지되어 온 회의 관행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기술자나 현장직원들의 처우가 좋아지고 해당직을 지원하는 우수한 인재가 많아야 우리나라의 기술경쟁력이 더 좋아질것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대한민국의 경우 과거 산업화 시대에 사무직은 안정적인 직업으로 인식되었고 기술직은 힘들고 위험한 직업이라는 인식이 강했었다고 합니다. 그시절 그러한 인식이 아직까지 이어지면서 사무직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형성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학벌이 좋은 대학을 졸업하여 사무직으로 취업하는 것이 성공적인 삶이라는 사회적 분위기가 아직까지 이어지는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에서 기술직과 현장직 선호도가 낮은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기술직과 현장직의 월급이 낮게 형성되어 있고
사회적으로도 인식이 좋지 못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