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대찬병아리4
대찬병아리4

고졸 언제쯤 인식 괜찮아질까요?

우리나라는 왜 아직도 기업들은 실무업무능력과도 다른 대졸을 왜 우위로 둘까요 고졸들도 대기업 들어가는거 봤는데 왜 대부분 기업 회사들 또는 사회적 인식 왜 이렇게 꾸졌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훌륭한두꺼비112
    훌륭한두꺼비112

    이 사회는 사회적 인식이 절대 바뀌지 않을 겁니다.

    재 2의 이성계가 나타난다면 모르겠지만요

    이 사회에서 중요한것은 무엇입니까

    스펙

    명문대

    연줄

    이런 것들밖에 없는 것이지요.

    그러니 어쩔수없이 이 망할 사회를 따르는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이것또한 제 생각이지만

    한번 생각해보시죠

    당신은 면접관이고

    한 명은 고등학교만 졸업했고

    한 명은 대학교를 졸업했다한다면

    누구를 뽑으시겠습니까?

    제 생각은 고등학교만 졸업한 사람에 대한 인식은 나아지는 것은 찬성이지만

    열심히 대학을 간 사람에 대해는 차별을 두어야한다는겁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랄게요^^

  • 꼭 한국만의 문제라기 보단 전세계적으로 비슷합니다.

    특별한 기술을 갖고 있지 않은 이상 그 사람을 판단할 기준이 없거든요

    내가 회사 대표고 사무직을 뽑는다면 면접자를 판단하는 기준을 무엇으로 잡을 수 있을까요?

    현실적으로 면접자의 학벌을 볼 수 밖에 없어요

    고딩때 열심히 공부를 해서 서울대학을 간 사람과 고등학교만 졸업한 사람중에

    누가 더 열심히 공부를 한건지를 판단 할 수 있는건 학벌뿐입니다.( 개인사정으로 대학을 못간 경우도 있을겁니다.)

    사람에 인성이 학벌에 비례하지는 않습니만 현실이 그렇다는 겁니다.

    고졸이여도 자신만에 기술을 갖고 있는 사람들은 충분히 대접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학벌에 구애 받지 않는 직업을 찾아서 기술을 연마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여담이지만 웹툰작가들 중에도 고졸이 꽤 많습니다.

  •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고졸보다는 대졸을 선호하죠.

    더 고등교육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실제 업무능력은 대졸, 고졸 아무 상관이 없는게 맞습니다.

    하지만 업무 자체를 하기위한 지식이 있어야겠죠. 입사 후 일을 배우기 위해 배경이 되는 지식을 습득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자격증 시험을 위한 자격 요건에 2년제, 4년제 대학재학 또는 졸업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혹은 관련 교육 및 강의 이수)

    (공대출신이라 다른 단과대는 잘 몰라요.)

    고졸도 치를 수 있는 자격증 시험이라면 자격요건에 경력 N년이상 등의 조건이 붙어요. (전문대졸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또한, 고등학생, 대학생 때 학업에 얼마나 충실했는가를 판단할 수 있는 요인이 됩니다.

    조금 극적이긴 하지만 서울대학교 졸업생과 고졸을 비교한다면 (모든 스펙이 동일하고 학력만 다를 경우)

    서울대 학생을 뽑을 것 같네요.

    단순히 서울대출신이라서가 아니라 치열한 입시경쟁 속에서 얼마만큼의 노력을 했는지 알고 그만한 노력을 들여

    원하는 목표를 이뤄낸 성과 그 자체에 큰 의미를 부여하는거에요.

    물론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일찍 사회에 뛰어들었다면 자신만의 경험이나 경력을 어필해

    블라인드채용을 통해 입사를 할 수도 있겠네요. (지원하는 직무와 관련된 경력이 있어야겠죠?)

    대기업, 중소기업을 떠나 그 직무에 대학교육이 꼭 필요한지를 먼저 생각해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 물질 만능주의 사회에 직업의 귀천이 존재하다보니

    너도 나도 가고 싶어하는 곳은 정해져있고,

    다 받아 줄 수 없으니 선별해야하고,

    선별과정에서 변별력이라는 핑계로 학력을 봄

    그것을 극복하려면 실무능력과 경력이라도 필요한데

    학력,경력,자격증이 없으면 취업이 안되는데 무슨 수로 경력을 쌓으라는 말이며,

    자격증을 따고 싶어도, 관련 대학을 나오거나 경력이 있어야 딸 수 있는 희한한 규정때문에

    시험 자체를 보고 싶어도 볼 수 없는 경우도 많음 (취직을 하려고 자격증을 따는건데 경력을 본다는거 자체가 코미디)

    자본주의 사회고 그 출발점이 다 다르다 할지라도

    기회의 평등은 사회가 보장해줘야 할것인데

    고졸자로 무언가를 해보려면 출발부터가 쉽지가 않은것이 현실

    그리고 안타깝게도 대학진학을 선택에 의해서 안한 사람보다

    능력부족으로 포기한 사람들이 훨씬 많다 보니

    역량자체가 미달인 사람이 많은것 또한 현실

    불합리한 대우와 사회적인식이 불만이라면

    책이라도 한권 더 읽고, 공부해서 어줍잖은 대학나온 이들 보다

    똘똘하고, 유능하다는것을 꾸준히 보여줘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