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왜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 회사는 상표명/브랜드 로고를 영어로 사용할까요?
여러분이 어려서부터 포털 사이트, 옷, 자동차, 상점 등에 접하면서 영어로 써있는 브랜드 마크를 볼 수 있습니다. 회사, 브랜드 로고가 영어인게 굉장히 많아요. 영어로 쓰면, 외국 브랜드 같아요. 동아시아에 유명한 회사 로고는 한국은 한글, 중국은 한자, 일본은 가나나 한자로 쓰지 않고 영어로 디자인을 많이해요.
예를 들면, 한국 회사/브랜드는 NAVER, Daum, kakao, LOTTE, SAMGSUNG, LG, NERDY, SPAO, HYUNDAI, KIA, monami, ShinHanart, NEXON, OLIVEYOUNG 등이고, 중국 회사/브랜드는 BYD, HoYoverse, ByteDance, xiaomi 등이고, 일본 회사/브랜드는 HONDA, LEXUS, TOYOTA, NISSAN, SUZUKI, YAMAHA, DESCENTE, Pentel, Tombow, HOLBEIN, SAKURA 등입니다. 일부 로고는 그 나라들의 국어를 넣지만, 반드시 꼭 영어를 넣더라고요. 영어로만 쓰는 것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권의 언어에 영어를 반드시 포함해서 디자인을 하는 건 회사/브랜드 로고의 조건인가요? 심지어, 한국이나 중국은 영어를 할 수 있는 데, 영어를 못하는 일본도 영어를 사용하는 지 모르겠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