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보험 보험가액과 보험금액에 대해 알려주실 수 있나요?
제가 고1인데 이번 시험범위 모의고사에 나오는 부분이 이해가 안돼서요 엄첨엄청 쉽게 고1정도도 쉽게 알아먹을 수준으로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모의고사 지문에는 보험가액은 피보험이익의 객관적이고 금전적 평가액으로 보험자가 보험금의 형태로 부담하게 되는 최고 한도액이라고 하고 고정되지 않고 경제적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고 하눈데 챗gpt한테 물어보니까 걔는 보험가액은 변동될 수 없고 변동 될 수 있는건 갑자기 피보험이익이래요 이게 뭔소린지 이해가 안돼요 그리고 보험 금액은 또 뭔지도 너무 헷갈리는데 혹시 쉬운 예시 같은거 들어서 설명해주질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가액은 피보험물의 객관적 금전적 가치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보험금액은 보험사에서 최대한 지급하는 금액입니다.
휴대폰이 100만원이면 보험금액도 100만원으로 정하는 게 일반적이고 보험가액은 시간이 지나면서 변동될 수 있는데 이건 감가상각 등 변화입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가액은 피보험이익이 되는 건물에 대해서 평가한 금전 액수이며 보험금액은 보험계약에 의해 약정된 금액에서 보험회사가 지급하는 최대한도의 금액입니다.
보험가액이란 피보험이익을 금전으로 평가한 액수로서 상법에서는 이를 보험계약의 목적의 가액이라고 규정하고 있고요. 이런 보험가액은 언제나 일정한 것은 아니고 경기의 변동에 따라 수시로 변동하는 피보험이익의 가액에 따라 변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당사자간에 합의를 하느냐 안하느냐에 따라 기평가보험, 미평가보험으로 나눕니다. 상법에서는 사고발생시의 가액을 보험가액으로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보험금액은 보험계약에 의해 약정된 보험자인 보험회사의 지급의무의 최대한도액수입니다. 보험금액은 보험계약 당시에 약정하는데요. 생명보험과 달리 약정된 금액이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 실손해에 대한 보상으로 보험금액과 실제로 지급하는 보험금이 일치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2억원 보험금액인 화재보험에서 1억원 화재가 나면 1억원만 지급하는 것입니다.
보험가액과 보험금액의 관계를 설명드리면 이렇습니다. 보험금의 계산에 있어서 물건의 종류를 일반물건 및 창고물건과 공장물건 및 재고자산으로 나누는데요. 일반물건 및 창고물건으로는 보험가입금액이 보험가액의 80% 해당액과 같거나 이상일 때는 보험가입금액 및 보험가액 중 적은 것을 한도로 실손 보상하고 보험가입금액이 보험가액의 80% 해당액보다 적을 때는 보험가입금액을 한도로 비례보상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석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쉽게 말하면 보험가액은 실제 그것의 가치입니다. 잃으면 돈으로 얼마를 손해보는지이죠.
보험금액은 말그대로 보험사에서 보장가능한 금액입니다.
보험사고 한번의 발생으로 보험사가 휘청일 정도로 지급하는 것은 위험하겠죠.
예를들어 보험가액이 20억인 물건을 보험가입 하려는데 보험사에서도 "아~ 이건 너무 비싼데? 우린 50%인 10억까지만 가입 받아줄 수 있어" 라고 하면 10억이 보험금액인거죠.
p.s 보험가액이 변할수 있다는 뜻은, 건물도 감가상각(시간이 지나면서 가치가 하락하는)에 따라서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줄어들수 있기 때문에 하는 말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지용 보험전문가입니다.
쉽게 부동산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부동산가격 기준인 kb시세가 변하듯 보험가액도 변합니다. 8억짜리 건물에 보험금액을 6억만 들면 일부보험. 8억짜린데 10억으로 보험가입금액을 설정하면 초과보험으로 봅니다.
예를 들어 설명드리니 참고하세요
예를 들어 휴대폰에 대한 보험을 가입시 휴대폰의 실제가치(신품인 경우 판매가격이 될 것이고 중고품일 경우 감가액 고려한 가치)라고 보시면 되며 보험금액은 보험사고 발생시 보험회사에서 지급하는 최고 금액입니다.
만약 휴대폰 가액이 100만원인 경우 보험금액을 100만원으로 설정하면 100만원까지 보상이 되나 90만원으로 설정하면 보험금액은 90만원이 됩니다.
보험금액은 보험가액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