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스페인 독감이후에 다른 전염병등도 정부에서 국민들을 위해 어떤 조치를 취했는지 궁금해요

스페인 독감 유행 당시에는 국제적 공조가 부족했고 믿을만한 정보가 거의 없었다고 알고 있는데요. 스페인 독감 이후에도 홍콩, 아시아 독감, 런던 스모그, 콜레라 등 각종 전염병 및 미세먼지 사태들이 있었다는데요. 이 시기에도 스페인 독감 때처럼 마스크 착용, 휴교령, 거리두기 등의 조치가 취해졌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20세기에 발생한 세 건의 인플루엔자 대유행(influenza pandemic) 중 하나로 인류 역사상 가장 막대한 인적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 독감입니다. 1918년에 발생하여 192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약 5억 명이 감염되었으며, 이 중 5천만 명에서 1억 명 정도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원인체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 H1N1아형(A/H1N1)에 속하는 바이러스입니다.

    마스크를 착용해야했고 감염률은 상당히 높았으나 사망률은 낮았다 합니다.

    그때 당시만해도 특별한 예방이 없었을 것이라 판단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스페인 독감 유행 당시에는 국제적 공조가 부족하여 많은 국가에서 적극적인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전* 예방 및 대응 방안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어, 각종 전* 및 미세먼지 사태들에 대한 대응이 더욱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예를 들어, 1950년대에는 홍콩 독감이 유행했습니다. 이때는 스페인 독감 때와는 달리 전 세계적으로 주요 국가에서 백신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대응했습니다. 또한, 1968년에는 아시아 독감이 유행했는데, 이때는 각국에서 마스크 착용, 격리, 백신 개발 등의 전략적 대응이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런던 스모그와 같은 대기오염 사태에 대해서도, 1952년 런던 대기오염 사태 이후 런던을 비롯한 유럽 국가에서 대기오염 규제 및 대응 방안이 강화되었습니다. 콜레라 역시, 전 세계적으로 위생 수준을 높이고 식수와 음식물의 위생관리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면서 유행이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따라서, 스페인 독감 이후에는 각종 전*** 및 미세먼지 사태에 대한 대응이 더욱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대응 방법들은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격리, 백신 개발 등 다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