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Jy천사1004
Jy천사100423.03.11

위화도회군은 왜 일어났을까요?

안녕하세요 고려말에 이성계장군이 위화도에서 군사를돌려 개경으로 진격했다고 하는데 왜 이런일이 일어났는지 시대적 배경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고려 말기인 1392년, 이성계는 위화도에서 군사를 돌려 개경(현재의 서울)으로 진격하면서 조선을 건국하였습니다. 이 때 이성계는 고려 말기의 정치적 혼란과 명나라의 침략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기 위해 군사력을 집결하였습니다.

    그 당시 고려는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에 처해 있었습니다. 고려 왕실과 관료 사이의 갈등과 이견, 그리고 고려의 군사력의 약화 등으로 인해 고려는 명나라의 침입과 정치적 혼란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고려는 이전까지 존재했던 여러 왕조들과 다르게 명나라와의 외교 및 교역에 대해 닫혀있는 자세를 보이면서 중국과의 교류도 미약했습니다.

    그런 가운데 이성계는 고려의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명나라와의 대치 상황을 피하고자 대대적인 군사력을 편성하여 개경으로 진격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이성계는 고려의 새로운 왕조인 조선을 건국하고, 명나라와의 관계를 새롭게 재정립하면서 조선의 성립과 독립을 이루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위화도 회군은 1388년 (우왕14) 명나라의 요동을 공략하기 위해 출정했던 이성계 등이 위화도 회군해 우왕을 폐위 시키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 입니다.

    당시 고려와 명나라의 관계는 명나라가 무리한 공물을 요구해 매우 긴장되어 있는 상태였습니다. 1388년 명나라가 철령위를 설치해 철령 이북의 땅을 요동도사의 관할 아래 두겠다고 통고해 오자, 이에 고려가 크게 반발해 결국 요동정벌로 이루어졌습니다.

    그러나 이성계는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거스르는 일은 옳지 않다며 여러 가지 이유를 제시하여 요동 정벌을 반대했으나 우왕과 문하시중 촬영이 강력하게 주장해 요동정벌이 시행 되었습니다.

    싸움은 계속 되었지만 큰 비가 오고 압록강을 건너기가 어렵게 되자 이성계는 실정을 보고 하면서 요동정벌을 포기할 것을 여왕에게 요청했지만 우왕과 최영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그러자 결국 이성계는 주민세와 상의한 뒤 회군을 단행하게 된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