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용량을 구하는 공식은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정전용량은 콘덴서가 전하를 축적할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정전용량을 구하는 공식은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정전용량(C)은 콘덴서가 저장할 수 있는 전하량(Q)과 걸린 전압(V)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간단히 말해, 콘덴서가 얼마나 많은 전하를 담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수학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표현됩니다.
C = Q / V
여기서,
C: 정전용량 (단위: 패럿, F)
Q: 콘덴서에 저장된 전하량 (단위: 쿨롱, C)
V: 콘덴서에 걸린 전압 (단위: 볼트, V)
으로 표현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정전용량은 기본적으로 콘덴서의 구조에 따라 다르며, 가장 일반적인 평행판 콘덴서의 경우 정전용량 C는 \( C = \frac{\varepsilon \cdot A}{d} \)로 계산됩니다. 여기서 \( \varepsilon \)은 유전율, A는 두 판의 면적, d는 두 판 사이의 거리입니다. 유전율은 다시 진공의 유전율 \( \varepsilon_0 \)에 유전상수 \( \varepsilon_r \)를 곱한 값입니다. 이 공식은 기본적인 평행판 형태에 적용되며, 복잡한 구조에서는 유도되는 수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정전용량은 콘덴서에 축적될 수 있는 전하량을 나타내며, 이를 구하는 공식은 일반적으로 C = Q/V입니다. 여기서 C는 정전용량(패럿), Q는 전하(쿨롱), V는 전압(볼트)을 의미합니다. 평행판 콘덴서의 경우, 정전용량을 구하는 공식은 C = ε₀ εᵣ (A/d)로 나타내며, 이때 ε₀는 진공 유전율, εᵣ는 물질의 상대 유전율, A는 판의 면적, d는 두 판 사이의 거리입니다. 이러한 공식을 통해 다양한 조건의 정전용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질문자님 말씀처럼 정전 용량은 콘덴서 캐패시터가 전하를 축적할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 것은 기호로 나타 내면 캐패스턴스 즉 정전용량은 기호 C로 표현합니다. 그리고 캐패스터에 축적된 전하는 Q 인가 된 전압은 V라고 하면 전압이 클수록 그리고 캐패스터 즉 축적된 전하가 클수록 정적용량은 커지게 됩니다. 캐패스터에 축적된 전하는 전압과 정전용량과 비례합니다. 따라서 Q(캐패스터 축적된 전하) = C(정적용량)XV(인가된 전압) 으므로 C(정적용량)=Q(캐패스터 축전된 전하)/V(인가된 전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