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심심한호랑이161
심심한호랑이16123.05.27

친구들에겐 얌전하고 착한아이인데 집에서는 돌변해요

이제 초등생 아이가 친구들하고 놀땐 수줍어하고 양보도 많이하고 친구들 하자는대로 하면서 노는데 집에와서는 엄마 아빠 말도 안듣고 큰소리로 소리지르고 물건 던지기도 합니다 화가난대요

이런 이중적인 아이 어떻게 육아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인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외부랑다르게 집은 안정적이라 내제해있던게 분출되나봐요 그럴때는 훈육을통해어느정도 감정이나 행동들을 다스려줘야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9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평소에 속마음을 표현할 수 있도록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어 주면 도움이 되기도 해요.

    아이의 본능적인 욕구가 표출되더라도 자연스럽게 반응하고 적절하게 대처하면서

    나치게 교육적인 접근은 안하시는게 좋구요. 양육자의 도덕성에 기준이 너무 높은 것은 아닌지 체크해보는 것도 필요합니다.

    양극적인 이중성은 조절에 문제이기도 합니다. 아이의 잘못된 행동에 대한 과한 지적은 조심하고

    예쁜 행동에 대한 과한 반응은 더욱 더 주의하면서 무심한 듯 생활한다면

    아이 스스로 마음과 표현을 조절해 나가는 방법을 배우게 될 것입니다.

    자기 조절력이 생기면 이중성은 자연스레 다양성으로 전환될 것입니다.

    자기 조절은 말 그대로 자신이 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르쳐서 되지는 않습니다.

    교육은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보여주는 것이므로 양육자가 자신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조절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좋은 교육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집에서 감정의 조절에 대해서 익숙하지 않아서 그럴수있습니다

    외부에서 괜찮은것은 어느정도 사회적인 관계나 분위기등을 파악해서 그럴수있으나

    집에서는 그런것을 신경쓸필요가 없어서 위처럼 나타날수있기에

    가능하면 스스로 감정을 조절하는 법을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는 불확실성을 띠는 존재입니다. 미숙함을 인정해야합니다.

    아이가 집에서 돌변하는 것은 가정이 편해서인 경우가 큽니다.

    다만 아이가 허용되지 않는 행동을 하는 경우 훈육을 정확히 해주세요.

    확실하고 단호하게 설명해주세요. 이후 훈육한 이유에 대하여는 따뜻한

    말투로 설명해주신다면 아이가 부모의 훈육에 대하여 이해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초등학생 아이이면 상황 설명을 하면 이해할 수 있으니 다른 행동에 대해 이야기 해 주시고 부모님의 마음을 잘 전달 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친구에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 하지 못하는 것은 기질의 때문 입니다.

    수줍어 하며 내성적인 성향을 가진 아이들이 자신의 감정을 친구에게 잘 표현하지 못하지만 집에 오면 자신의 기분을 마음껏 풀어버리는 경향이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친구에게 풀지 못하는 자신의 감정을 집에서 소리를 지르거나 물건을 던지는 행위는 옳지 않은 행동 이라는 것을 단호하게 알려주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그리고 친구와 가족에게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지도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집에서는 더 편한 공간이다보니 아이가 마음대로 하려고 하는 성향이 있는 것 같아요. 집에서도 아이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 일관성 있게 훈육을 단호한 태도로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심리적으로 조금 힘든 것 같습니다.

    아이의 학교 생활을 잘 살펴 보시고 아이가 어떤 이유에서 힘든지 알아야 될 것 같아요.

    아이의 생활에 관심을 가지고, 대화를 자주 나눠 보는 시간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집에 오면, 오늘 힘든 일이 있었는지 온화하게 물어보고 같이 해결할 방법을 찾아 보는 것도 중요할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평소에 스트레스 쌓일만한 일들이 있는지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밖에서는 온순한데, 집에 와서는 긴장이 풀린만큼 스트레스를 다 풀어 버리는 것 같습니다

    평소에 아이에게 사랑을 듬뿍 주시고,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 주는 것도 중요할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박수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 분노의 감정을 표출하지 않는 것이 더 위험합니다.

    언제 어떤 모습으로 표출할 지 알 수 없기 때문인데요.

    그래도 컨트롤할 수 있는 가정에서의 모습이라면 계속해서 대화로 풀 수 있도록 권유해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화가 나는 이유를 풀어 설명할 수 있도록 양육자께서 알아듣기 쉽게 말을 해주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