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예금·적금

오늘배움
오늘배움

일본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오늘도배웁니다.

일본에서는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유지하고 있었다고 하는데요. 마이너스 금리 정책이 무엇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정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의 1990년대 버블경제가 꺼진뒤 심각한 경제 저성장과 디플레이션을 겪었습니다.

    그리고 소비와 투자를 촉구하기 위해 금리를 인하했지만 0%에 근접해도 경기가 살아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돈을 넣어두면 (중앙은행에 일반은행이 돈을 맡기면) 돈을 이자를 받는것이 아니라 수수료를 내야하는 느낌이 되어버린것이죠.

    그래서 일반 개인이나 기업에게 대출을 해주도록 장려하고 이를 통해 소비와 투자를 활성화 시키는 경기를 부양하기 위한 정책이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마이너스 금리란 중앙은행이 각 금융기관이 예치한 지급준비금 이상의 돈에 대해서 마이너스의 정책 금리를 적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금융기관이 돈을 풀지 않고 중앙은행에 지급준비금을 초과한 돈을 맡기는 것에 대한 패널티라고 보시면 됩니다.

    뱅크런 상태를 막기 위해서는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으로부터 예치금을 맡기는데 이를 지급준비금이라고 합니다. 마이너스 금리 정책은지급준비금을 초과한 돈에 대해서 일종의 보관료를 받는 것으로, 금융기관이 지급준비금을 초과한 돈을 시중에 풀도록 유도하는 정책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은 중앙은행이 금리를 0% 이하로 설정해 은행들이 중앙은행에 예치한 자금에 대해 이자를 내야 하는 상황을 만드는 정책입니다.

    이 정책의 주된 목적은 경제를 활성화하고 인플레이션을 유도하는 것입니다. 은행들이 중앙은행에 자금을 예치할 때 오히려 비용을 지불해야 하니까, 은행들은 자금을 대출로 돌리는 쪽을 선호하게 돼요. 그러면 기업이나 개인들이 대출을 더 쉽게 받을 수 있고, 그로 인해 소비와 투자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경제 성장을 촉진시키고자 하는 게 이 정책의 핵심입니다.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은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에 돈을 맡길 때 오히려 이자를 지불하는 제도로, 은행이 자금을 예치하는 대신 손해를 보게 됩니다. 이 정책의 주요 목적은 경제 활동을 활성화하고 디플레이션을 극복하기 위함입니다. 즉, 은행이 자금을 보유하고 있는 것보다 대출을 통해 경제에 기여하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마이너스 금리 정책의 장점으로는 경기 부양과 자산 가격 상승이 있지만, 단점도 존재합니다. 은행의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대출 심사가 더욱 까다로워질 수 있고, 예상치 못한 자산 가격의 급등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예금 금리의 하락으로 인해 저축 감소와 소비 증가가 초래될 수 있습니다.

    일본은 2016년에 세계 최초로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도입했지만, 기대한 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하고 부작용이 더 크게 나타나면서 2023년에 정책을 종료했습니다. 마이너스 금리 정책은 경기 부양을 목표로 하지만, 각국의 경제 상황과 정책 집행 방식에 따라 그 효과와 부작용이 달라질 수 있어 신중한 검토와 시행이 필요한 복잡한 정책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은 2016년 1월 일본은행(BOJ)이 도입한 통화 정책입니다. 이 정책의 주요 목표는 경제 성장 촉진과 물가 상승률을 목표치인 2%로 끌어올리는 것입니다.

    이 정책은 일본 경제의 장기적인 저성장과 디플레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시행되었습니다. 그러나 마이너스 금리 정책은 금융기관의 수익성 악화, 자산 버블 우려 등 부작용도 동반하고 있어 논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의 초과 지급준비금에 마이너스 금리를 적용하는 것으로 자국 경기를 살리기 위해 각자도생식으로 대응하면서 등장한 정책입니다. 마이너스 금리는 일반인과 기업 예금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않고 시중은행과 중앙은행간의 예금에 대해서만 적용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은 은행들이 중앙은행에 예금을 맡길 때 일정 금액을 수수료로 지불하도록 하는 정책으로 은행들이 돈을 빌려주는 것을 촉진하고 경제를 활성화하려는 목적이었습니다. 이 정책은 2016년에 도입되었고, 최근 일본은행은 17년 만에 이 정책을 종료하고 기준금리를 0~0.1%로 인상했습니다. 일본 경제에서 물가 상승과 임금 상승의 선순환이 이루어졌다는 판단에 따른 결정입니다. 마이너스 금리 해제 이후에도 일본은행은 당분간 완화적인 금융 환경을 지속할 계획입니다.

  • 안녕하세요.

    일본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에 대해 간단히 말씀드립니다.

    중앙은행이 정책금리를 제로(0%)보다도 낮은 수준으로 하는 정책을 말하며, 시중은행이 중앙은행에 예금을 맡길 경우 예금 금리를마이너스로 하는 것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현재는 아니지만 0.1% 금리를 과거에 유지하면서 입출금 통장에 그냥 돈을 넣어두면 사실상

      마이너스 금리가 적용됨에도 사람들은 대다수가 은행에 돈을 예치했습니다

    • 그래도 무리가 없었던 것은 일본의 물가나 급여는 30년째 동결되어 왔기 때문에

      큰 이상 없이 지낼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마이너스 금리 정책이라는 것이 기준금리를

    0% 아래로 유지시키는 등 함으로써 시중에

    경기를 부양시킬 의도로 펼치는 것이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일본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문자 그대로 마이너스 금리 정책이란 기준 금리를 마이너스로 유지하는 것입니다.

    즉, 은행에서 돈을 빌리면 은행에서 이자를 되려 빌린 사람에게 주는 것이

    바로 마이너스 금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