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증자의 재원은 무엇인가요?
무상증자의 재원은 무엇인지 문의드립니다.
자본계정의 자본금외의 다른 계정과목에서 가져올 것 같은데..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상증자는 이익준비금과 자본잉여금(자본준비금)만을 재원으로 할 수 있습니다. 법령에 의하여 적립이 강제되지 않는 임의준비금은 재원으로 할 수 없는 것이죠. 따라서 무상증자를 하기 위해서는 상법에서 정한 재원이 있어야만 가능합니다. 자본준비금이나 이익준비금, 또는 이익잉여금이 재원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회계에서 "무상 증자"은 기존 주주에게 비용 없이 신주를 발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주가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도 추가 주식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무상증자의 출처는 배당금으로 분배되지 않은 누적 이익인 회사의 준비금입니다. 주식은 주주에게 비용 부담 없이 발행되기 때문에 준비금은 회사의 자본금을 줄이지 않고 신주를 발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준비금은 이익잉여금, 잉여금 또는 재평가 준비금과 같은 다양한 출처에서 나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준비금은 일반적으로 회사의 이익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축적되며 자본 지출, 운전 자본 또는 미래 투자와 같은 다양한 목적을 위해 따로 보관됩니다. 주식의 무상 발행은 회사가 준비금을 활용하고 주주에게 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상증자의 경우 기업의 자본잉여금이나 이익잉여금을 재원으로 자본금을 늘리는 행위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상증자의 재운이 되는 것은 회사가 보유하고 있던 '자본잉여금'이나 '이익잉여금'과 같은 법정적립금입니다. 해당 잉여금들을 '주식'으로 전환시키는 자본전입을 통해서 주식을 발행하게 되는 방식입니다. 무상증자의 자본금 편입의 예시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자본 5억원 = 자본금 1억원 + 자본잉여금 1억원 + 이익잉여금 3억원 (무상증자 전)
자본 5억원 = 자본금 3억원 + 자본잉여금 1억원 + 이익잉여금 1억원 (무상증자 후)
위와 같이 무상증자는 총 자본금액은 동일하나 '자본'이라는 계정 내에서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계정이 '자본금'이라는 계정으로 전환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무상증자를 하게되는 회사들은 그동안 회사영업을 통해 누적시켰던 이익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전환하게 되며 누적이익잉여금이 많을 수록 더 많은 수의 주식수로 발행할 수 있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업에서 자본 중,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옮기게 됩니다.
이에 따라서 주식수를 늘리는 것이 가능한 것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상증자는 추가 투자금을 받지 않고 주식을 발행하여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것 입니다. 외부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 아니라 회사 내부적으로 자금을 조달하여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뜻 합니다.
따라서 무상증자는 기업에 자본준비금 또는 이익준비금 등이 있을 때만 가능하며, 무상증자를 하면 이익준비금에서 자본금 계정으로 발행가액만큼이 이동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맞습니다. 이익잉여금의 자본금 전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 이렇기에 사실상 회계 처리만 달라지는 것이 되어 실질적으로 주주의 부가 늘어나지 않는 증자가 무상증자입니다. 그래서 무상증자를 '형식적인 증자'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익잉여금, 자산재평가적립금, 주식발행초과 등 회사가 영업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 가운데 주주에게 배당금을 지급한 뒤 회사 내부에 쌓아둔 돈이다.
이돈으로 무상증자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