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심심한도마뱀164
심심한도마뱀16422.11.24

미국과 금리 격차가 벌어지는 것에 대한 문의

미국과 이미 금리 격차가 1퍼센트나 나는 상황에서 한국이 오늘 금리를 생각보다 적게 올리는 것 같은데요. 금리를 적게 올리는 이유가 있나요? 금리격차가 더 벌어지면 다른 문제가 안생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미 기준금리 격차에 따른 부작용도 있지만, 미국도 향후 금리인상에 대한 속도조절애기가 나오고 있고, 환율이 다소 안정된점, 현재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점 등을 감안하여 25bp 금리인상을 결정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오늘 우리나라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0.25%를 인상하기로 결정을 하였습니다. 금통위에서 0.25%의 금리인상을 결정한 근거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완화될 것이라는 확신을 가져서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어제 공개된 지난 FOMC회의록에서 연준 인사들 대부분이 향후 금리인상 기조에 대한 완화가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대가 많이 형성되어 있었고 지난 11월 10일 미국의 CPI가 예측치보다 낮게 나오면서 이러한 발언들에 대한 근거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 환율을 보게 되면 우리나라가 0.25%의 금리의 낮은 금리상승을 하였음에도 환율은 오히려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보통은 우리나라가 금리를 낮게 인상했으면 향후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 심화가 우려되어 환율이 상승해야합니다.

    현재는 연말까지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를 1.25%를 예상하고 있는 추세라고 환율이 12월 14일 이전에는 큰 변동이 있기는 힘들어 보입니다. 그런데 만약에 12월에 발표되는 미국의 CPI지수가 높게 나와서 미국의 기준금리 기조가 완화되지 않게 되는 경우는 환율이 큰 폭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그렇기에 12월의 미국 CPI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순간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은에서는 우리나라 기업들의 현재 부채 수준과

    가계 부채 수준 등을 고려하였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 기업과 가계들의 부채 수준이 상당히

    심각한 수준이기에 그런 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24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원화가치가 달러당 1300원대로 올라서고 미국의 물가 상승 압력이 다소 완화된 영향이 있고 자본시장의 돈맥경화와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긴축 부담이 0.25%를 올린 이유입니다. 다른 의미로는 한국은행이 앞으로 닥칠 위기에 대응할 자신이 있는것으로 해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