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GDP대신 GNI를 보거나 수정 GNI의 지표는 어떤 부분을 보기위해 보는것인가요

가장 유명한 경제지표는 GDP이지만 최근 일부국가에선 이지표로는 내부국민들의 실상을 명밀히 알수없다는 비판이 있는데요

이에 GNI를보거나 수정 GNI지표를 활용하기도 한다는데 이는 무엇을 보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GDP의 경우 무역의 가격변화에따른 손실과 이익을 반영하지 않음으로써 실제 국민총소득보다 높게 나오기 때문에 저러한점을 보완하기위해 GNI라는 개념이 생겼습니다. 우리나라에 수출하는 재화 A의 가격이 오르고 수입하는 재화 B의 가격이 내릴경우 가격변동전과 동일한 량으로 수출,수입 하게 된다면 더많은 물건을 수입할수있습니다. (수출가격은 오르고 수입가격이 내렸기때문입니다.) 반대로 수출하는 재화 A의 가격이 내려가고 수입하는 재화 B의 가격이 오르면 가격변동전과 동일한 량으로 수출,수입 할 경우 더 적은 물건을 수입할수있습니다.(수출가격이 내리고 수입가격이 올랐기때문입니다.)이로인해 무역손실이 발생하게 되고 여기서 발생한 손실만큼 국민소득(GNI)도 내려가게 됩니다.

  • GDP는 한 국가의 총생산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GNI는 국민 소득 개념으로 보시면 됩니다. 즉, 1인당 GNI는 한 개인이 국내와 해외에서 벌어들인 총수입의 합을 의미해서 좀 더 국민 개개인의 소득 측정에 가까운 지표라고 보시면 됩니다.

    GDP는 단어가 품고 있는 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부가가치의 합이라 소득 개념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GDP와 1인당 GDP가 높더라도 해당 GDP가 특정 기업이나 집단에서 대부분 도출된다면 국민 개개인이 부유하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 먼저 GDP라하면 국내총생산이라서 해당 국가에서 모든 경제주체가 생산한 생산물을 시장가격으로 평가해 합산한 값인데요.

    여기엔 비거주자인 외국기업(외국인)이 생산한 것들도 포함되어 있고, 외국에서 벌어들인 소득은 책정되지 않아서 정확한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판단하기엔 애매한 지표라고 여겨져 GNI를 보게 되는데요.

    GNI란 국민총소득이라고 해서 한 나라의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합계로, 글로벌해진 세계시장에서 보다 정확한 한 국가의 소득을 알 수 있습니다.

  • 제가 알기로는 GDP는 그 나라 영토 안에서 발생하는 부가가치를 더한 값입니다. 그리고 GNI는 그 나라 국민이 생산한 부가가치를 더한 값입니다

    그 둘의 차이는 국가 영토를 기준으로 하느냐 아니면 국민을 기준으로 하느냐 이 차이입니다

    최근에 우리나라만 해도 우리나라 기업들이 미국의 공장을 짓고 중국의 공장을 짓고 유럽의 공장을 짓고 하면서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GDP로 보면 전혀 반영이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기업들이 해외 진출해서 돈을 벌어오는 것이기 때문에 GNI로 하면 집계가 됩니다

    이래서 최근 경제 흐름에는 GNI가 더 맞을 수도 있습니다

  • 질문해주신 GNI에 대한 내용입니다.

    GNI는 Gross National Income의 약자로 국민 총소독을 의미하며

    이는 국민들이 벌어들이 총소득으로 한 국가 국민의 소비와 후생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웰빙의 경제적 기초를 포괄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지표입니다.

  • GDP는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된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측정합니다. 반면, GNI는 그 나라의 국민들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보여줍니다. 수정 GNI는 여기에 더해 환경, 빈부격차 같은 요소들을 고려해서 국민들의 실제 삶의 질을 더 잘 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