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주식이 고평가, 저평가 되었다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시장에서 어떤 주식은 고평가 되었다 또 어떤 주식은 저평가 되었다고 말하는데 고평가와 저평가의 판단기준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이 고평가(Overvalued) 또는 저평가(Undervalued)되었다는 판단은 주로 주식의 현재 가격과 그 주식의 내재가치를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집니다.
내재가치는 기업의 재무 상태, 성장 가능성, 시장 경쟁력 등을 고려해 산출한 이론적인 가치입니다.
이를 판단하기 위해 여러 가지 지표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PER (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계산법: 주가 / 주당순이익(EPS)
해석: PER이 높으면 해당 주식이 이익 대비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는 의미로, 고평가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반대로 PER이 낮으면 저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2. PBR (Price to 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
계산법: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
해석: PBR이 1보다 낮으면 기업의 자산가치 대비 주식이 저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1보다 높으면 고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3. PEG Ratio (Price/Earnings to Growth Ratio)
계산법: PER / 예상되는 이익 성장률
해석: PEG 비율이 1 이하이면 주가가 이익 성장에 비해 저평가되었음을 의미하고, 1 이상이면 고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4. 배당수익률 (Dividend Yield)
계산법: 주당 배당금 / 주가
해석: 배당수익률이 높으면 배당금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은 PER을 기준으로 판단하게 됩니다 PER이 높을수록 고평가이고 낮을수록 저평가인데
기준이 되는 PER은 해당 주식이 있는 증시의 평균 PER를 중심으로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10~12정도 해당하며 미국은 20을 넘어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ER은 순매출 대비하여 현재 주가가 어느정도인지를 평가하는 항목이기 때문에 이 지표가 너무 높으면
향후 성장에 대한 밸류를 지나치게 높게 주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의 고평가, 저평가의 기준은 PER, PBR 등 지표에 따라 다릅니다.
PER의 경우 PER 값이 낮을 수록 저평가 되었다고 판단되며 높을수록 고평가 되었다고 합니다.
PBR의 경우 1보다 작을 경우 저평가 높을 경우 고평가되었다고 표현합니다.
이렇듯 분석지표에 따라 고평가 저평가 기준이 다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고평가와 저평가 여부와 같은 경우에는
동종업계의 기업들과 비교하였을 때,
PER, PBR 등을 통하여 고평가, 저평가 여부를
비교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이 고평가 또는 저평가되었다고 판단하는 기준은 주가와 기업의 실제 가치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PER과 PBR 같은 지표를 많이 사용합니다. PER이 너무 높으면 수익에 비해 주가가 비싸다는 의미로 고평가되었다고 봅니다. 반대로 PER이 낮으면 저평가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 업계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고평가 또는 저평가 여부를 판단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이 고평가 혹은 저평가 되었다는 것의 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주가수익비율인 PER을 갖고 평가할 수 있는데
보통 PER이 10배 이상이면 고평가 되었고
10배 미만이면 저평가로 해석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신정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주식의 고평가, 저평가 기준은 per을 기준으류 합니다. Per이란,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눠서 구하게 되는데, 회사가 벌어들이는 수익에 비해서 주가가 어느정도로 되어있는지를 알수있는 지표이죠
보통 Per이 높으면 이 주식이 고평가 되어있다는 뜻이고 낮으면 저평가 되어있다는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