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훈훈한무희새9
훈훈한무희새923.08.28

일본에서 방류된 오염수가 우리 바다까지 오는데 얼마나 걸릴까요?

얼마전 일본에서 오염수가 방류됐는데요..

방류된 오염수가 우리 바다까지 도달하기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전문가들마다 예측이 다릅니다. 중간에 있을 변수들 때문에 그러는거 같은데, 현재로썬 약 4년정도를 예상하는것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8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에서 방출되는 방사능 오염수가 한반도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여러 가지 요소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요소들에는 방출 위치, 해류의 속도와 방향, 그리고 기타 환경적인 조건들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후쿠시마 원전에서 방출되는 방사능 오염수가 한반도까지 도달하는 구체적인 시간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좀 더 세부적인 연구와 모델링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얼마전에 저도 일본 오염수가 우리나라에 언제쯤 도달할지 뉴스에서 봤는데요. 뉴스에서 우리나라 연구진들이 확인 한 결과는 해류에 영향을 받아서 오염수가 우리나라에 도달하는 시기는 4~5년 예상된다고 합니다. 극히 일부만 2년내에 유입될수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본에서 방출한 오염수가 한국까지 도달하는 시기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의견이 있습니다. 태평양으로 방류된 오염수의 한반도 해역 도달 시점을 두고 이르면 한 달부터 220일 안에 제주도, 270일 뒤면 동해에 도달한다는 여러가지 의견이 있습니다. 독일 헬름홀츠해양연구소(GEOMAR)가 발표한 논문에서 핵실험이나 원자력시설 사고 때 탐지되는 세슘137은 금방 붕괴해 자연 상태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방사성 물질이어서 오염 지표 물질로 쓰입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에도 대량의 세슘137이 방출됐습니다. 연구진은 사고 직후 후쿠시마 앞바다의 세슘137 농도가 일주일간 10페타베크렐(PBq·1PBq은 1000조Bq)을 유지한다고 가정하고 10년간 농도 변화를 컴퓨터로 살펴봤습니다. 그 결과 2년 뒤에는 1세제곱미터(m3)에 10Bq로 떨어졌다가 4~7년 뒤에는 1~2Bq 수준으로 서서히 줄어들었습니다. 5~6년 뒤에는 세슘137이 해류를 따라 북미 연안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정경태 해양환경연구소장은 학계에서는 바닷물에서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1m3에 0.01Bq 수준이어야 검출 가능하다고 보는데, 정 소장은 이 값으로 바꿔 독일 연구진의 모델에 대입하면 세슘137의 동해 진입 시점은 6년이후이며 동해에서 세슘137의 농도가 최대치가 되는 시점은 8년이후로 부피당 0.5Bq 수준에 이른다”고 말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보도기관마다 전부 다르고 이해관계에 따라 내용이 달라서 아직은 제대로 된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