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점 시장에서 가격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독점 시장에서는 단일 기업이 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는데, 독점 기업이 가격을 어떻게 설정하는지 알 수있을가요? 기준같은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들은 어떠한 이유 이슈가 생길 때마다 조금씩 조금씩 올립니다 특히 독과점 하는 곳은 크게 경쟁 상대가 없고요 3대 대기업 통신사라고 하는 SK LG kt조차 경쟁을 안 하죠 오히려 담합하는 거 같은 느낌이 듭니다 어디가 전쟁이 났다더라 어디가 원가가 올랐다더라 누가 돈을 풀었다더라 뭐만 했다면은 다 갖다 붙이면서 올리는 겁니다 그리고 나서도 매출의 크게 영향이 없다면 그 가격 그대로 가는 겁니다 교촌치킨 같은 경우도 올리고 나서 처음에는 할인 쿠폰을 주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독점 시장에서는 가격이 어떻게 결정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독점 시장인 경우 소비자에 주도되는 것이 아니라
판매자가 가격을 결정하게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독점시장에서는 가격결정권이
해당 기업에 있다고 보여집니다만
국가 등에서 이에 대한 규제 등을 하기에
기업에게 있으나 정부의 눈치를 본다고
볼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은 상품의 가격을 설정할 때 소비자들이 그 상품을 얼마나 원하고 있는지를 고려합니다.
또한 상품을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을 고려합니다.
이는 고정 비용과 가변 비용을 포함합니다.
독점 기업은 자신의 이윤을 최대화합니다.
이를 위해 한계 수익과 한계 비용을 비교하여 가격을 설정합니다.
한계 수익은 추가로 한 단위 상품을 판매할 때 얻는 수익이고, 한계 비용은 추가로 한 단위 상품을 생산할 때 드는 비용입니다.
독점 기업이라 하더라도 정부 규제나 잠재적 경쟁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으로, 가격 결정에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독점 시장에서 가격 결정은 주로 단일 기업의 판단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독점 기업은 시장의 수요 곡선을 분석하여 가격을 설정하는데, 이는 소비자의 반응에 기반합니다.
가격을 올리면 판매량이 감소하고 반대로 가격을 내리면 판매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기업은 한계 수익(MR)과 한계 비용(MC)을 비교하여 이윤을 극대화하는 가격을 결정합니다.
즉, MR이 MC와 일치하는 지점에서 가격을 설정합니다.
또한, 독점 시장에서는 진입 장벽이 높아 경쟁이 없기 때문에 독점 기업은 자율적으로 가격을 조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집니다.
그러나 정부의 규제가 있는 경우 가격 설정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독점 시장에서 가격이 결정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독점시장은 가격 결정권이 기업에 있기 때문에 다른 기업들 보다 본인들이 원하는 가격을
제시할 수 있는 것입니다.
다만 무한정 가격을 올릴 수 없는 것이 소비자도 심리적 가격제한선이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필수재를 독점시장에서 장악한다면 시장실패가 나타나기 때문에 법적으로 독점을
경계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독점 시장에서는 단일 기업이 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기업은 수요와 생산 비용을 바탕으로 이윤을 극대화하는 가격을 설정합니다.
일반적으로 독점 기업은 생산 비용이 낮은 수준에서 더 높은 가격을 책정하여 최대 이익을 얻으려 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소비자는 선택의 여지가 적기 때문에 기업이 설정한 가격을 따를 수밖에 없습니다.
독점시장은 오직 한 명의 사람이나 하나의 단체(기업 등)만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장을 말합니다. 즉 이는 경쟁이 실종된 상태로, 독점 시장에서는 대체재를 구할 수 없습니다. 이런 독점시장에서는 시장에서 유일한 공급자이므로 상품의 균형 가격과 균형 거래량은 수요와 공급 원리에 따라 시장에서 결정되는 게 아니라 독점기업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완전경쟁기업의 개별 기업들은 시장 가격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가격 수용자인 데 비해 독점기업은 가격 설정자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독점시장의 가격형성은 다음과 같아요. 한계 수익과 한계 비용의 발생: 독점자는 이윤을 최대화하기 위해 한계 수익과 한계 비용을 비교하여 그 최대치를 발생하도록 할수있습니다. 한계 수익이 한계 비용과 같아지는 지점에서 생산량이 결정되고, 이 생산량에 해당하는 가격을 수요 곡선에서 찾아 연결합니다. 가격 차별화 발생: 독점자는 고객의 지불 의사를 확인하여 가격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더 높은 이윤을 독점자가 추구할 수 있습니다. 진입 장벽 형성: 독점 시장은 진입 장벽이 매우 높아 다른 경쟁자의 접근을 쉽게 용인하지 않습니다. 이는 독점자가 가격을 조정할 때 경쟁 부담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독점기업은 시장에서 유일한 공급자라서 상품의 가격은 독점기업에 의해 결정하는데요.
그렇다고해서 가격을 무조건 높게 설정하는 것은 아닌데, 가격을 너무 높게 설정하면 상품이 하나도 안 팔려 수입이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시장 가격은 생산자의 한계 비용 곡선보다 높은 점에서 결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