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심리상담

ADHD

신통한거미81
신통한거미81

성인용 ADHD에 관해 궁금합니다.

예전에는 ADHD하면 저연령대에 국한되는 얘기로 알고 있었는데, 요즘 어느 순간부터 성인용 ADHD에 관한 얘기들이 많더라고요.

커뮤니티를 보면 아예 성인용 ADHD를 겪고 있는 분들의 전용 채널이 생겨서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할 정도로 이러한 증상을 겪는 분들이 적지 않은 것 같기도 하고요. 또 그 분들이 진단받고 처방받은 약을 복용하면서 삶의 질이 달라졌다라는 만족감을 얘기하시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그러다가 어느 순간부터 뉴스기사에 소위 공부 잘 하는 약, 집중력을 높여주는 약이라는 입소문으로 해당 ADHD 증상자에게 처방하는 약이 수험생이나 학생들이 찾는 통에 재고가 부족할 정도라는 얘기도 본 것 같고요.

잡설이 길었지만 성인용 ADHD 환자들이 어느 정도의 생활에 불편함을 느껴야 진단받을 정도 수준인건지, 현대인들은 누구나 정도의 차이지 그러한 장애를 갖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제가 익히 알고 있는 정도의 범주와 전혀 다른 정도의 문제와 증싱인건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성인 ADHD는 최근 들어 더 많이 인식되고 있지만, 사실 오래전부터 존재해왔습니다. 과거에는 주로 아동기 질환으로만 여겨졌으나, 연구에 따르면 아동기 ADHD 환자의 약 50-65%가 성인이 되어서도 증상을 경험합니다. 또한 아동기에 진단받지 못한 많은 사람들이 성인이 되어서야 자신의 상태를 인식하게 되는 경우도 흔합니다. 성인 ADHD는 아동기와는 다소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과잉행동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지만, 주의력 결핍과 충동성, 그리고 실행기능의 어려움은 지속되거나 오히려 더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성인 ADHD 환자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은 단순한 '집중력 부족'을 넘어섭니다. 일상생활에서 자기 조직화의 어려움, 시간 관리 문제, 우선순위 설정의 어려움, 과도한 정서적 반응, 충동 조절의 어려움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직장 생활, 대인관계, 재정 관리 등 여러 영역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진단은 일상생활에 '상당한 기능적 장애'가 있을 때 고려되며, 단순히 가끔 집중력이 떨어지는 정도가 아닌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영향이 있어야 합니다. 현대인들이 모두 어느 정도의 ADHD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디지털 환경에서의 주의력 분산은 모든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ADHD는 이와는 구별되는 신경발달적 상태입니다. 약물 치료(주로 메틸페니데이트나 암페타민 계열)는 많은 환자들에게 효과적이지만, 오남용 가능성 때문에 엄격히 관리됩니다. 자가진단보다는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평가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