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때 발생하는 경기 위축 현상은?
안녕하십니까.
기준 금리의 인상은 자금의 흐름을 줄입니다. 인플레이션의 억제를 위해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떄 발생하는 경기 위축의 메커니즘은 무엇인지 전문가 분들의 의견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올리면 투자와 소비가 줄어들게 되고 이는 인플레를 잡게 됩니다
이 때 돈의 가치가 상승하게 되고 자산의 가치는 하락합니다
따라서 물가는 잡히지만 투자가감소하면서 경기가 위축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자금조달 비용이 증가하여 소비와 투자가 위축될 수 있습니다.
이는 자금의 유동성과 고용 및 생산을 감소시켜 저성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기준 금리 인상시 발생되는 경기 위축 현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특정 산업들은 돈을 빌려서 해야 하는데
아무래도 대출 금리가 오르게 되면 계획대로 투자를
하거나 사업을 벌이지 못하게 되는 등의
위축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면 대출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업은 투자를 줄이고 가계 또한 소비를 줄이게 되며 기존에 있던 대출도 상환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고용이 감소하고 소비가 감소하면 경기가 위축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 억제를 하기 위해서는 금리를 인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금리의 인상의 경우 시장에 유통되는 자금의 량을 줄일 수 있따는 점에서 화폐의 가치하락을 막고, 물가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물가의 상승을 완전히 통제할 순 없지만, 일부분 상승을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요소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금리를 인상하면 사람들의 소비심리가 감소하는 것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 인상을 하게 되면 중앙은행과 시중은행간의 초단기 차입금리가 올라가게 되는 요소로 작동하며 이는 시차를 두고 시중은행의 대출이나 예금금리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시중은행의 핵심은 예대마진이니 차입금리 조달이 올라가니 당연히 대출금리가 올라가게 되는 구조이며 다만 예금금리는 상대적으로 늦게 시차를 두고 반영하곤 합니다. 즉 이렇게 올라간 금리로 인해서 시중의 차입이나 대출이 감소하게 되고 이는 그만큼 신용승수가 감소하게 된다는 말이며 은행은 대출이라는 것을 통해서 통화량을 시중에 공급하는것인데, 이는 통화유동성이 감소하게 되므로 시중에 자산의 가격상승이 억제가 되게 됩니다.
이는 늘어난 부동 대출을 통해서 자산을 매입하거나 아니면 생산활동을 통한 투자를 진행하는데 이 대출규모가 감소하니 자산을 매입하는 수요량감소 생산활동 CAPA가 적어지기 떄문입니다. 즉 이렇기 때문에 금리인상은 시중의 수요를 감소하고 생생한활동을 억제하는 형태로 이어지게 되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은행 대출 금리도 비싸지니까, 사람들이나 기업들이 돈을 빌려서 투자하거나 소비하는 게 부담스러지고, 그럼 기업들은 새로운 투자를 망설이고 고용도 줄어들게 되고, 개인도 비싸진 대출 이자 때문에 지갑을 덜 열게 되면서 전반적인 경제 활동이 둔화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