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후 1개월 아기가 밤에만 심하게 우는데 원인이 궁금합니다
낮에는 괜찮은데 밤만 되면 2-3시간씩 계속 울어요.
배고픈 것도 아니고 기저귀도 깨끗한데 왜 이러는지 모르겠어요.
수면 문제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영아 산통 가능성이 있습니다. 건강한 신생아에서 밤 시간대에 주로 발생하는 복통으로 특별한 이유 없이 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배를 부드럽게 마사지하거나 따뜻한 수건으로 감싸주세요. 보통 생후 3-4개월경 자연히 사라지지만 증상이 심하거나 지속된다면 소아과 방문이 필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생후1개월 아기가 밤에 2~3시간씩 우는것은 흔히 있는 일입니다 가능한 원인이 몇가지 있습니다
1.영아산통
영아산통은 생후 1-2주경부터 시작되어 생후 6주경에 가장 심해지는 현상입니다. 주로 저녁이나 새벽에 아무 이유 없이 발작적으로 울고 보채는 특징이 있습니다.
2.수면 주기 적응
신생아는 아직 낮과 밤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수면 주기가 불규칙합니다. 밤에 더 활발해지거나 잠들기 어려워할 수 있습니다
3.환경적 요인
어둠에 대한 공포나 세상에 대한 낯섦으로 인해 밤에 더 불안해할 수 있습니다
4.생리적 요인
소화 문제나 체온 조절의 어려움으로 인해 밤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신생아는 아직 낮과 밤을 구분하지 못합니다. 밤에 주변이 조용해지면서 불안감이 증가하거나, 낮 동안 받은 자극이 쌓여 밤에 우는 경우가 많습니다.또한 소화기 미성숙, 장내 가스 축적, 신경계 과민반응 등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주로 저녁이나 밤에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울음이 멈추지 않고 계속 심해지거나 열, 구토, 설사, 발진 같은 증상이 동반되거나, 배가 단단하거나 아기가 계속 불편해 보이는 경우에는 소아과진료를 받아보길 권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되셨으면 합니다.
평가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생후 1개월 이후의 아기는 단순히 주변 환경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으로 울음을 터트리는 경우가 있으며, 너무 어둡거나 한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발열이나 기침과 같은 증상이 없다면 적절한 조도에서 잘 잘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 주고 경과를 보시되, 음식을 잘 못먹거나, 눈을 잘 안마주치거나 반응이 둔해지는 경우에는 소아청소년과에 가서 의사의 진찰을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본 답변은 진료를 대신 할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아기는 잠드는 것이 어려우며 잠들었다 하더라도 자주 깨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는 상대적으로 얕은 잠을 자기 때문에 악몽을 꾸거나 바깥의 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하여 잠이 든 후 1~2시간 사이에 울거나 뒤척이는 일이 잦습니다. 문제는 깬 다음에 스스로 잠이 들지 못하고 누가 옆에 있거나 도와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대개 아이를 가볍게 다독거려주거나 쓰다듬어주거나 흔들어주거나 아이를 안고 걸으면 잠이 듭니다. 노리개 젖꼭지나 물을 주는 것도 좋은방법입니다.
아이가 잠에서 깨어나는 것을 예방하려면 자기 전에 너무 많이 놀아주어서 아이가 흥분한 상태로 잠이 드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자기 전 너무 먹이거나 텔레비전을 보게 하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수면과 각성을 조절하는 생리 리듬을 깨뜨리게 되기 때문이죠. 아이도 어른과 마찬가지로 잠들기 전에 긴장을 푸는 시간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