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을 자주 맞으면 후유증이 줄어드나요?
최근 회사에서 백신을 자주 맞아 후유증이 약해져 기존 백신 접종 휴가 2일에서 1일로 축소한다는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백신 접종이 잦으면 후유증이 줄어드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전은영 의사입니다.
코로나 19 백신 접종의 차수가 늘어날수록 백신 접종으로 인한 이상반응이 감소한다는 명확한 연구는 없습니다.
하지만 이번 동절기 추가 접종에서 백신 이상 반응 빈도는 기존 백신과 비교해 더 적거나 유사한 정도라고 밝혀졌고 동절기 추가접종에 대한 국내 이상 반응 신고율은 이전 단가백신 보고 사례와 비교해 10분의 1 정도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궁금증 해소에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백신 접종이 잦으면 후유증이 모두 줄어드는 것은 아니며 사람마다 증상은 차이가 있습니다. 백신 접종후 몸살이나 통증시에는 해열진통제 복용을 권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현재 동절기 추가접종으로 사용 중인 2가 백신은 기본적으로 기존 단가 백신과 제조과정이 동일하며
이상 반응 빈도는 기존 백신과 비교해 더 적거나 유사한 정도라고 합니다.
백신 접종휴가가 감소한 것은 기업체에따라 상황이 다른 것이며
백신 이상반응 가능성과는 연관이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코로나 백신을 접종하게 되면 격렬한 면역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그로 인해 접종 후 몸살이나 근육통과 같은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2번 접종해보고 몸에 크게 이상증상 없으면 일반적으로 추가접종해도 크게 문제되지 않습니다.
다만 자주 접종한다고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크게 낮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백신접종을 자주한다하여 후유증이 줄어드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회차가 증가할수록 면역반응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부작용 발생확률은 증가할 수 있지만, 이전 회차때 부작용이 심하지 않으셨다면 부작용이 발생할 확률은 높지 않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백신을 자주 맞는다고 해서 후유증이 줄어들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몇 번을 맞던 각각 독립적으로 후유증이 있을 수도 혹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백신을 접종하면 흔한 이상반응으로 접종부위 통증, 열, 두통, 피로감, 오한, 몸살기, 관절통등이 주로 젊은 층에서 접종 다음 날 흔하게 발생합니다. 이런 이상반응은 보통 두번째 접종에서 더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상반응은 대부분 1-2일이 지나면 (길어도 보통 수일) 사라지게 됩니다. 하지만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은 개인마다 상이한 백신 접종력, 변이의 종류, 면역력이 모두 달라 예측하기 어려우며 모두 상이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백신은 초창기에 코로나를 예방하는게 목적이지만, 지금의 백신은 예방이 목적이 아니라 감염이후 중증도를 낮추는게 목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아무래도 같은 종류의 백신을 자주 맞기 때문에 항체 형성 역시 익숙해지게 되어
면역 반응이 과도하게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백신 접종은 원래 과도한 항원,항체 반응으로
인한 발열 등 부작용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접종을 할 수록
부작용이 주는 것이 일반적인 패턴인 것이 사실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백신 접종과 후유증의 발생여부에 대한 연구는 잘 알려진게 없습니다.
백신은 중증으로의 진행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접종 당시 컨디션 차이에 따라 후유증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접종 차수에따라 후유증 정도에서 차이가 나는것은 아닙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백신을 접종 받으면 부작용 및 후유증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무작위적인 것입니다. 자주 맞는다고 후유증이 줄어들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백신을 자주 맞는다고 해서 후유증이 줄어드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초기에 백신 후유증이 심했을 때와 비교해서 요즘에는 큰 부작용을 호소하는 경우도 없기 때문에 백신 접종 후의 휴가 일수를 줄이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