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개운한문어247
개운한문어24721.11.15

코로나 델타변이에 관한 질문.

코로나 백신에 관한 질문입니다.

코로나 백신 완전 접종 하더라도 델타변이 바이러스에 걸릴수가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상준 약사입니다.

    2차까지 접종을 했다 하더라도 감염될 확률은 존재합니다.

    백신은 확률적인 문제로 감염될 확률을 낮춰주는것이지 100%가 되는것은 아닙니다.

    코로나백신뿐만아니라 다른백신들도 마찬가지 입니다.

    델타변이 바이러스에 당연히 감염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허재훈 약사입니다.

    백신을 접종한다고 해서 델타변이 바이러스에 무적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회사별로 발표한 2차접종완료시 예방률에서 보면 100%가 아닙니다.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항체가 감소할 수도 있고 변이 바이러스가 백신을 회피하여 접종을 마치더라도 감염증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소중 약사입니다.

    현재는 델타변이 바이러스가 대다수 입니다.델타변이 바이러스의 예방률은 화이자1차접종시 30%대 예방률이고, 2차까지 접종시 80%대후반의 예방률입니다.

    모더나의 경우 1차접종시 70%대 ,2차접종시 90%대 예방률입니다.

    예방률에서 알수있듯이 걸릴수도 있지만 확률을 많이 낮춰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1.17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네 100% 예방은 불가능합니다.

    영국공중보건국에 따르면 화이자 백신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1차접종만 하면 델타변이 바이러스 예방률이 떨어지지만 2차 접종까지 완료했을 경우에는 화이자는 88%, 아스트라제네카는 60%의 예방률을 보였습니다. 이는 기존의 코로나 바이러스보다 떨어지는 수치이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규 약사입니다.

    코로나 1,2차 접종완료를 하더라도 델타변이 바이러스에 걸릴수 있고,

    부스터샷까지 접종하더라도 델타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될수있습니다.

    백신을 접종한다고해서 100% 예방되는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한상민 약사입니다.

    백신을 접종하고 나서 감염예방률의 경우 회사별로 어느정도 차이가 있긴하나,

    보통 60-90% 예방률입니다.

    돌파감염이 일어나는 이유중 한가지는 델타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입니다.

    백신을 접종해도 일어날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코로나 백신을 접종해도 코로나에 감염될수 있습니다.

    백신으로 생긴 항체로 감염이 되어도 몸에서 바이러스에 저항하는 힘이 생기는 것이에요.

    변형된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백신으로 생성된 항체가 효과가 없을수 있어요.

    하지만 백신이 100%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코로나에 감염된후 바이러스가 잘 통제가 안된다면 감염력이 생길수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으로 인한 부작용은 대부분 중증도로 진행이 되었을때 발생합니다.

    백신을 접종하는것은 감염이 안되기 위해서라기 보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었을시에 중증도로 진행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접종을 하는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변이바이러스에 의해 돌파감염 가능성이 있습니다

    백신+개인위생+사회적 거리두기 해주십시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백신을 접종 받아도 델타 변이는 물론 다른 변이의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모든 종류의 백신들은 접종 후에 항체가 형성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감염의 위험이 있을 수 있으며, 항체가 형성 되었더라도 돌파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항체가 잘 형성 되었다면 백신 접종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바이러스에 노출되는 것보다 감염 확률이 낮은 것이 맞으며, 감염 되더라도 증상이 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용호 약사입니다.

    초기유행주와 변이주에 대한 각 백신의 예방률입니다.

    예를들어, 화이자 백신의 경우 2차까지 맞았을 때, 초기유행주에는 93%의 예방률을

    델타형 변이에 대해서는 79%의 예방률을 나타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2차까지 접종하시더라도 돌파감염의 가능성은 있습니다.

    그러나 그 확률은 1%에 달하지 않는 0.2% 수준으로 확인됩니다.

    관련자료 첨부하오니 확인바랍니다.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King’s College London)의 연구팀은 스마트폰 앱 UK ZOE COVID Symptom Study를 통해 2020년 12월부터 2021년 7월까지 백신 1차 접종을 마친 124만9명과 2차 접종까지 완료한 97만1,504명의 증상 관련 데이터를 수집했다.

    1차 접종을 마친 사람의 돌파감염 발생률은 0.5%(6,030명)이었으며, 2차 접종까지 완료한 사람의 돌파감염 발생률은 0.2%(2,370명) 미만으로 나타났다.


    출처: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632571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RNA바이러스로 변이가 매우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현재 많은 변이바이러스가 발견되었습니다.

    그중 알려진 것은 알파, 베타, 감마, 델타, 람다, 뮤 와 같은 변이이며 이 외에도 여러가지 존재하나, 이것이 대표적이며 델타변이가 전파력이 높아져서 문제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발견되고 있는 변이는 델타변이 바이러스이며 백신 접종시에도 돌파감염을 유발하여 사망환자가 속출되는 상황입니다.

    백신 접종을 하여도 예방률이 100프로는 아니기에 돌파감염의 위험은 있으나 미접종자보다는 확률은 낮으며 돌파감염율을 정확히 보고된바는 없습니다.하지만 백신 접종시 코로나 감염시 중증증상으로 진행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며 사망률 감소에는 효과적입니다.

    백신접종후에도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도록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백신을 접종하여 바이러스에 대한 체내 면역체계를 갖추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네 가능성 있습니다.

    돌파감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백신 접종한지 시간이 오래 흐른다면 항체량이 줄어들게 되어 감염 가능성이 있구요.

    얀센이 다른 백신보다 돌파감염률이 높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코로나 백신 접종을 완료한 상태에서 델타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는지 궁금하시군요.

    코로나 백신 접종을 완료한 상태라도 일반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 될 수 있는 것처럼, 델타변이 바이러스에 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백신 접종을 완료한 뒤에도 개인 방역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델타바이러스 등 돌파력이 강한 바이러스가 출현하면서 접종완료자에서도 감염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접종을 완료한 후에도 감염될 수 있으니 마스크를 잘 쓰고 사람이 많은 곳은 피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을 2차까지 접종하게 되면 90% 이상은 항체가 생기게 됩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바이러스 예방이 가능한데, 간혹 항체가 생기지 않거나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경우 돌파감염 될 수 있습니다.

    현재 백신은 변이 바이러스를 완벽히 예방하기 어렵기 때문에 델타 변이에 감염될 가능성은 낮긴하나 감염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백신의 효과가 6개월정도로 보고 있기 때문에 접종 후 6개월이상이 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현재 부스터샷이 예정되어 있습니다.화이자나 모더나의 경우 초기 연구 당시 코로나 감염의 95% 예방효과를 보였지만 수개월이 지나며 그 효과가 확연히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또한 델타 변이등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어 백신을 접종하여도 100% 감염을 예방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부스터샷까지 접종받으시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닥터최입니다.

    백신을 접종하더라도 백신의 효과는 시간이 지나면서 일반적으로 감소하게 됩니다. 델타 변이는 기존 바이러스 변이보다 감염력이 뛰어나고 기존 백신을 회피하여 백신 접종완료자를 감염시키는 이른바 돌파감염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다행히 접종자가 감염이 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무증상 혹은 경증으로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현 의사입니다.

    코로나백신접종을 2차까지 완료하면, 델타변이바이러스에 대해 60-80%의 효과를 보입니다.

    따라서, 적긴하지만 돌파감염이 될 수는 있습니다.

    부스터샷을 접종하면 그렇지 않은경우에 비해 예방률이 11배 올라가는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영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효과가 화이자는 87%, 아스트라제네카는 60% 수준으로 밝혔습니다.

    이스라엘에서는 화이자도 60% 수준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기존 바이러스 유형에 맞춰서 개발된 백신이므로 변이바이러스에는 취약한 것이 사실입니다.

    또한 6개월 뒤에 중화항체 수준이 낮아져 감염에 취약해지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코로나 백신을 접종해도 코로나에 감염될수 있습니다.

    백신으로 생긴 항체로 바이러스에 저항하는 것이지만

    변형된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백신으로 생성된 항체가 효과가 없을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백신이 100%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코로나에 감염된후 바이러스가 잘 통제가 안된다면 감염력이 생길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백신마다 사용하는 바이러스 조각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 예방률에 차이가 나타납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모두 90%이상의 예방률을 보입니다만

    현재 감염은 델타 변이 바이러스로 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현재는 델타변이 바이러스가 대다수 입니다.

    화이자 : 1차접종시 30%대 예방률이고, 2차까지 접종시 80%대후반의 예방률

    모더나: 1차접종시 70%대 ,2차접종시 90%대 예방률

    아스트라제네카: 2차까지 접종시 60%-80%대후반의 예방률

    얀센: 60%대의 예방률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백신 접종을 하시더라도 이와 같이 델타변이에 의한 돌파감염의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바이러스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있어 유전자변형이 자주 일어납니다. 돌연변이 바이러스 중 대부분은 사멸하지만 돌파력이 강한 바이러스가 살아남게 됩니다. 이번 코로나19 델타변이가 대표적입니다. 백신접종완료자에서도 돌파감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