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팀목전세자금대출 후 월세계약해도 되는걸까요?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대출로 보증금 내고 현 거주지 전세로 사는중
사정상 타지역에 월세를 빌리고 살게 됨
현 거주지는 가족들이 사는 곳으로 상환은 어려운 상태
월세보증금은 지불가능해 추가적인 대출은 필요 없는 상태
그렇다면, 제 이름으로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빌려 얻은 전세는 유지하면서 추가적으로 제 이름으로 월세계약을 해도 상관없는걸까요?
둘 다 제 이름으로 해야하는 계약들인데 머리가 아픕니다... ㅠㅠ
양쪽 집을 왔다갔다할 예정입니다.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ㅠㅠ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박경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을 이용 중이시면서 추가로 월세계약을 고려하고 계시군요. 이러한 상황에서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점검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1. 대출 약정 조건 확인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의 주요 조건 중 하나는 대출 대상 주택에 실제 거주하는 것입니다. 즉, 대출을 통해 얻은 전세 주택이 주 거주지여야 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 대출 약정 위반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2. 세대주 및 무주택 요건
대출 신청 시 요구되는 세대주 및 무주택자 요건은 대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충족되어야 합니다. 추가로 월세 주택을 계약하더라도, 이러한 요건에 변동이 없어야 합니다.
3. 추가 월세계약의 영향
추가로 월세 주택을 계약하여 이중 거주지를 가지게 되면, 대출 기관에서 이를 문제 삼을 수 있습니다. 특히, 대출받은 전세 주택에 실제 거주하지 않는다고 판단될 경우, 대출 회수 등의 조치가 취해질 수 있습니다.
4. 대출 기관과의 상담 권장
가장 정확한 방법은 현재 대출을 진행한 기금 수탁은행이나 주택도시기금에 직접 문의하여 상황을 설명하고, 추가 월세계약이 대출 조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결론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을 이용하면서 추가로 월세계약을 체결하는 것은 대출 약정 조건에 저촉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대출 기관과 사전에 충분히 상담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을 받은 후, 다른 지역에서 월세 게약을 하여도 법적으로 큰 문제는 없습니다.
그러나 전세 대출 조건에 따라 전세자금 대출을 받은 집에서 거주해야 할 의무가 잇을 수 잇으므로, 대출조건을 확인하고 법적인 문제를 피하려면 전문가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