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물이 갑자기 빠지면 쓰나미가오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바닷물이 갑자기 빠지면 몇초뒤에 더 큰 파도인 쓰나미가
밀려온다고 하던데 그게 발생하는 이유가 무엇이고
또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쓰나미는 지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해일을 말한다. 해저에서 발생한 지진·화산폭발 등의 급격한 지각변동으로 발생된 해수의 긴 파동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져 해안가에 도달하는 현상을 말한다.
쓰나미가 발생하기 전엔 해일 특유의 물 빠짐 현상이 있다. 지진해일로 인해 생긴 파형의 골(파고의저점)이 먼저 올 경우에 해당한다. 마루(파고의고점)가 먼저 오는 쓰나미는 물이 빠지지 않는다. 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 당시 말레이시아에서 어떤 관광객이 찍은 동영상을 보면, 초반에 상당한 양의 바닷물이 빠져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썰물 때처럼 해안선이 바다 쪽으로 빠지는 모습이다. 다만 6시간에 걸쳐 밀물↔썰물로 진행되는 간조/만조와는 달리, 쓰나미의 전조증상 때는 몇 분 안에 갑자기 빠진다. 그리고 해일의 규모가 클수록 크게, 빠르게 빠지므로 본능적으로 뭔가 이상하다는 걸 쉽게 눈치챌 수 있다.(출처 : 나무위키 - 쓰나미)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이 갑자기 빠지는 현상을 "해일 전조" 또는 "쇄해"라고 합니다. 이는 지진이나 해일 등에 의해 지하에서 일어나는 지각 변동으로 인해 바닷물이 갑자기 빠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해일 전조는 지진이나 해일의 원인이 되는 지각 변동으로 인해 바다 바닥이 일시적으로 상승하고, 이로 인해 바다가 갑자기 빠지게 됩니다. 이때 바닷물은 갑작스럽게 이동하면서 거대한 파동을 일으키며, 이것이 쓰나미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이 갑자기 빠지면 몇초뒤에 더 큰 파도인 쓰나미가 밀려오는 이유는 지진이나 화산 폭발과 같은 해저 지각 운동으로 인해 해저가 갑자기 융기하거나 침강하여 발생하는 것입니다. 해저 지각 운동으로 인해 해저의 수심이 갑자기 변하면, 그에 따라 해수면의 높이도 갑자기 변합니다. 해수면의 높이가 갑자기 변하면, 그에 따라 해수의 흐름도 갑자기 변합니다. 해수의 흐름이 갑자기 변하면, 그에 따라 파도가 발생합니다.
쓰나미 파동은 수심이 얕은 해역으로 진입하면서 속도가 감소하고 진폭이 증가합니다. 이는 파동이 지반과 접촉하여 지형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동하면서 더 높은 높이로 표면의 바닷물을 올리게 됩니다.
쓰나미 파동이 얕은 해역으로 접근하면 파동의 진폭이 더욱 커지면서 바닷물을 상승시킵니다. 그러나 파동이 퇴적지에 도달하기 전에는 파동이 산과 골짜기를 따라 이동하면서 바닷물이 갑자기 빠짐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요약하면, 바닷물이 갑자기 빠지고 쓰나미가 오는 이유는 해저 지진으로 인한 파동이 수심이 얕아지는 해역으로 전파되면서 파동의 속도가 감소하고 진폭이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바닷물이 높아지고, 이후 파동이 해안에 도달하면 바닷물이 갑자기 빠지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쓰나미가 오기 전 해양지각이 움푹꺼지면서 바닷물도 함께 빨려내려간 뒤 해양지각이 다시 돌아오면 바닷물이 돌아오며 큰 해일을 만들기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쓰나미가 오기전에 바닷물이 갑자기 빠지는 이유는 지진이나 해일과 같은 자연 재해로 인해 바닷속의 지각이 움직이면서 해저면이 갑자기 융기하거나 침강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바닷속의 물이 갑자기 움직여서 큰 파도를 일으키게 됩니다 이렇게 거대해진 파도가 해안으로 밀려오면서 쓰나미가 발새하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