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온돌문화는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난방방식인가요? 다른 나라 사례는?
우리나라의 전통 난방방식은 구들장을 데워서 바닥부터 따뜻하게 하는
온돌문화가 대표적인데
다른 나라의 경우 이러한 방식으로 난방을 했다는사례가 있나요?
같은 아시아권여서도
우리만의 독특한 온돌문화인 이유는 뭘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라민경 전문가입니다.
온돌문화는 한국만의 고유한 문화입니다. 음식을 하기위해 아궁이에 불을 지피면
이것을 그냥 굴뚝으로 내보내지 않고 온돌을 따뜻하게 만든 다음 최종적으로 굴뚝으로
연기를 내보내는 방식인데 아마도 열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는 목적에 북부지역 쪽에서
시작된 것이 전국적으로 퍼졌다고 추측합니다.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가까운 중국의 경우에도 온돌과 비슷한 형태를 갖고 있지만 중국은 불을 직접적으로 바닥 아래에서 뜨겁게 하는 것이라면, 한반도의 온돌은 방에는 구들장이라는 형태로 바닥이 비어 있고, 아궁이에서 불을 지피면 생기는 열기를 구들장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방을 덥히는 형태입니다. 음식을 하는 에너지로 사용하면서 방을 데울 수 있는 형태였죠.
온돌은 우리나라의 독특한 바닥 난방 방식으로 간접 복사열을 활용하여 방바닥을 따뜻하게 합니다. 같지는 않지만 유사한것으로는 중국의 '다강'이라는 바닥 난방 시스템, 핀란드의 스모크 사우나 방식, 로마 시대의 히포카우스툼과 중세 성의 글로리아 같은 장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