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가 내리다가 터널을 지나면 안오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비가 내리다가 터널을 지나면 안오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이것은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 걸까요? 국지성이라고 그래도 터털을 경계로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터널은 시간과 거리를 줄이기 위해 산을 뚫어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로 인해 비구름이 산을 타고 넘어가야 하는 물리적 시간이 생기게 되고
그로 인해 입구는 비가 오지만 출구는 아직 비가 안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터널은 산을 지나갑니다.
구름은 대기의 이동에 영향을 받아 같이 움직이는데
많은 수분을 머금고 있어서 무겁습니다.
산을 넘어가지 못하고 뭉쳐있다가 비가 내리고 가벼워져 산을 지나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모든 경우가 다 그런건 아닙니다.
아마 비구름의 영역이 터널을 중심으로 한쪽은 비구름 영역, 한쪽은 아니기 때문에
터너을 지나고 나면 비가 안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터널이 산이 가로막고있을때 뚫는데요
비구름이 산에 막히는 경우가 종종 있기에 터널을 경계로 비가 오고 안오고하는 현상이 종종발생합니다
그냥 터널을 지나기 전에는 비가 내리고 있었고, 터널을 지나고 난 후에는 비가 내리지 않은 상태일 뿐입니다.
구름이 터널 전에는 있었고 후에는 없었을 테고 그러한 경계에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높은산은 우기때 반대편 날씨가 전혀 다른경우가 많습니다.
산으로 인하여 비구름이 통과하지 못한경우입니다.또한 태백산맥의 높새바람같이 산에 막혀 전 지역과 후지역이 다를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