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고물가 인플레이션 시대의 어떻게 저축해야될까요?
요즘 월급은 잘안오르는데요 너무나 소비자물가가 올라가고 있어서요 어떻게 해야 자산관리를 할수 있을지 재테크를 어떤 방식으로 해야될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과 같은 인플레이션 시대에는 현금으로 쥐고만 있어도 현금 가치가 하락합니다
따라서 최소한 예금 금리 정도는 수익을 봐야 하는데 이는 약4~5%정도입니다
현재 상황에서는 주식으로 들어가기에는 어려운 상황이고 지금은 채권에 투자하여 인플레이션이라도
따라가는 상황을 만들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이런 고물가 인플레이션 시대의 저축에 대한 내용입니다.
고물가 인플레이션 시대가 지속되면
현금으로 저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산으로 현금을 전화시키는 것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주식, 코인, 부동산 등이 그런 것들입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산을 안정적으로 배분하면서도 일부 자산은 나누어서 가치가 오를만한 항목들에 투자를 하셔야 합니다. 안그러면 물가 상승분을 쫓아가기가 힘들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고물가시대에는 화폐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에 예적금에 가입하는 것보다는 투자자산 비중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현재 주식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조정장이기 때문에 천천히 매수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물가상승 생각하면 은행 예금이나 적금 이자는 그냥 돈을 저장하는 수단정도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다들 투자 공부 열심히해서 주식이랑 코인에 투자를 하는거죠
개인적으로 재테크는 돈이 많으면 부동산이 최고겠지만 금수저 아니면 적립식으로 요즘 많이들 사는 미국증시 주총하는 배당형 etf 나 국내 배당주들을 저가에 사면 좋긴 할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고물가 시대에는 확실히 돈 관리를 다시 빡세게 해야 합니다. 월급은 그대로인데 물가는 계속 오르니, 예전처럼 생각 없이 쓰다가는 금방 힘들어지죠.
일단 제일 먼저 해야 할 건 예산 다시 짜는 겁니다. 어디에 얼마 쓰는지 꼼꼼하게 따져보고, 진짜 필요한 건지 아닌 건지 확실하게 구분해야 합니다. 앱 같은 거 써서 지출 기록하면서 불필요한 데 돈 새는 거 막는 게 중요해요.
저축도 그냥 되는대로 하면 안 됩니다. 요즘 온라인 은행들 보면 금리 꽤 괜찮은 예금 상품들 많거든요. 이런 고금리 계좌 잘 활용해서 단기 자금이나 비상금 넣어두는 게 좋습니다. 만기가 다른 예금 여러 개 들어놓는 CD 래더 전략도 괜찮은 방법이고요. 그리고 예상 못한 일 생길 수 있으니, 생활비 3~6개월치는 꼭 비상금으로 챙겨둬야 합니다. 이것도 그냥 두지 말고 이자 조금이라도 더 주는 곳에 넣어두는 게 좋겠죠.
투자는 더 신경 써야 합니다. 물가 오르는 거 생각해서 투자해야 내 돈 가치가 안 떨어지거든요. 물가연동국채 같은 안전한 상품도 좋고, 주식이나 채권, 부동산, 원자재 같은 여러 자산에 분산해서 투자하는 것도 리스크 줄이는 좋은 방법입니다. 특히 에너지나 산업 관련 주식은 물가 상승기에 강세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고 하니 참고할 만합니다.
소비 습관도 완전히 바꿔야 합니다. 안 쓰는 구독 서비스 당장 해지하고, 외식 줄이고 집에서 밥 해 먹고, 간단한 집 수리는 직접 하는 식으로 아낄 수 있는 데서 최대한 아껴야 합니다. 마트 갈 때도 할인 상품 위주로 사고, 굳이 비싼 브랜드 아니어도 괜찮은 제품들 찾아보는 것도 돈 아끼는 방법이죠.
결국 고물가 시대에는 똑똑하게 저축하고, 물가 상승률보다 더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는 투자를 하고, 낭비되는 돈 없이 효율적으로 소비하는 이 세 가지를 같이 해야 내 자산을 제대로 지킬 수 있습니다. 귀찮더라도 꼼꼼하게 따져보고 실천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고물가와 인플레이션 발생 가능성이 점쳐질때엔 자산을 저축할수록 손해라고 할 수 있는제요. 가급적 안전자산인 미국 채권과 금 등에 투자하시는 게 낫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고물가 시대에 자산 관리는 더욱 중요해집니다. 월급은 제자리인데 물가는 계속 오르는 상황에서 효과적인 재테크 전략은 필수적입니다.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필수 소비에 집중해야 합니다. 특히, 외식, 쇼핑, 문화생활 등 변동 지출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통신비, 보험료, 구독 서비스 등 고정 지출을 점검하고, 불필요한 부분은 해지하거나 저렴한 상품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매달 예산을 세우고, 지출 내역을 기록하여 소비 습관을 파악하고 개선해야 합니다. 주식, 펀드, 부동산 등 다양한 투자 상품에 분산 투자하여 위험을 줄여야 합니다. 특히,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