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 보험료가 비싼 편인지 파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가족력이나 특이사항이 없다면 비슷한 나이대에 들어야 하는 필수적 보험은 비슷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본인 보험료가 비싼 편인지 파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는 나이와 병력 그리고 가입된 담보와 보장금액 그리고 직업이나 직무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보험사마다 약간의 차이도 있지만 가입된 조건도 보험료의 차이가 있을 있습니다 납입면제 일반해지 무해지환급형 저해히환급형 갱신형 비갱신형등 보험료를 산출하는 조건은 많습니다 비교를 하려면 동일조건 동일담보로 보험사마다 설계하여 비교를 해야 합니다 같을 수는 없습니다만 그 방법이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지용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가 비싼지 적당한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여러개 보험사별로 발품파는 법밖에는 없어요. 정 비교할 곳이 없고 답답하시다면 답글 남기세요. 봐드릴게요.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이는 동일한 조건의 타인의 보험료를 비교해야 하는데 동일한 보험상품인지 동일한 담보인지등 계약조건이 동일할 경우와 비교해야 하는 것으로 현실적으로는 보험사, 상품에 따라 다를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보험사, 다양한 상품으로 비교를 해보는 것이 현실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정구철 보험전문가입니다.
먼저 보장성보험은 세후 월 소득의 5%를 필수 보험의 마지노선 금액으로 봅니다. 그 이상이라면 불필요한 보장은 없는지 검토가 필요합니다. 그 후에는 약관을 검토하여 보장이 제대로 꼼꼼하게 들어있는지를 보는게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 다모아 같은 공신력 있는 비교 플랫폼을 이용하면 동일조건으로 여러 보험회사의 보험료를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는데요. 나이, 성별, 직업, 건강상태, 가입하려는 보험종류 등을 입력해서 검색해볼 수 있습니다. 자동차보험은 만 21세, 24세, 26세, 30세, 35세, 43세, 55세 등으로 나이구간을 나누어서 보험료를 책정합니다. 20대는 사고률이 높아서 상대적으로 비싸고 30대 40대는 사고률이 낮아서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같은 보험이라도 특약 구성에 따라서 보험료에 차이가 있는데요. 자동차보험에서 운전자 범위 등이 있겠습니다. 보험설계사나 공신력 있는 보험리모델링 서비스를 통해서 가입한 보험의 보장내역과 보험료 수준을 분석받을 수 있습니다. 동일한 연령에도 보험료가 높다면 과거 병력이나 건강검진 결과가 반영되었는지 직업이 운전직이나 배달직 같은 고위험군으로 분류되었는지 불필요한 특약이 포함되었는지 보험사 자체의 요율이 높은 편인지 등을 고려해서 하시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덕원 보험전문가입니다.
단순히 보험료만 비교하기보다 가입상품의 보장내용을 회사별로 비교해보는것을 추천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보험전문가입니다.
본인 보험료가 비싼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타 보험사의 비슷한 보험에 대한 상담을 진행하거나 도는 인터넷검색 등을 활용해보시면 됩니다. 이는 파악을 통해 특약을 없애거나 눌이는 식으로 접근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만약 보험료가 비싸다고 한다면 이에대한것을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드.
안녕하세요. 박준규 보험전문가입니다.
본인 보험료의 적정성을 평가 받으려면 보험 전문가에게 분석을 의뢰하고 평가를 받으셔야 합니다. 비슷한 연령대의 동일한 보장내용으로 각 보험사의 보험료를 분석해 보면 최저가보험사와 최고가 보험사의 보험료를 비교해 보면 대략 20% 차이가 발생하며 최저가 보험사와 본인 보험과 비교해 보면 파악이 되겠죠.
안녕하세요. 한승민 보험전문가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보험설계사에게 상담을 따로 받거나, 주변에 나와 비슷한 조건을 가진 사람들이 보험료로 얼마를 내고 있는지 알아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