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반듯한문어248
반듯한문어248

월급과 물가의 관계를 알고 싶습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17
직업
학생
근로형태
개인사업자(자영업 포함)
결혼여부
미혼
월 수입 현황
979797979797979797979
월 부채 비용
0
월 고정 지출 비용
0
월 가용자금
1

월급이 10만원 올랐지만 물가는 15만원이 올랐습니다.

이렇게 따지면 5만원의 손실은 뭐라고 부르는지 궁금합니다.

Aaaa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월급이 10만원이 상승한 것에 비해서 물가가 15만원이 상승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실질임금의 감소'라고 하며 보통은 최저임금을 결정할때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감안해서 인상을 하여 이러한 괴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어요

  • 이러한 경우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실질임금 감소'라고 합니다.

    실질임금은 명목임금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것으로 근로자가 실제로 받는 임금의 가치를 말합니다.

  • 위와 같이 경제에 있어서 물가가 오름폭이 소득의 오름폭보다 클 때에 부르는 말은 구매력이 떨어졌다라고 표현을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명목급여와 실직급여라고 합니다. 급여가 오르면 물가도 그만큼 오른다는 뜻인데 우리나라는 비정규직이 매우 많습니다 최저시급은 있지만 최저시급도 못받는 사람이 있는 반면 고소득자들도 많이 있어서 소비 증가는 심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인플레이션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뺀거를 실질소득이라 부릅니다. 보통 원래 오른 거에는 명목이라는 말을 붙입니다. 명목GDP, 명목금리, 명목소득 여기서 물가 오른걸 뺀거를 실질GDP, 실질금리, 실질소득이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질문해주신 월급과 물가의 관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앗, 제가 질문을 다 읽지 못하고 답변을 달았습니다. 송구합니다!

    월급 오른 것보다 물가가 더 오르게 되면

    실질임금이 줄었다고 부르게 됩니다.

  • 이런 경우에는 "실질소득 감소" 또는 "구매력 하락"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이는 월급이 오르긴 했지만 물가 상승률이 더 높아서 실제로는 소득이 줄어든 것처럼 느껴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구매력이 저하되어 지출을 줄이게 되고, 이는 경제 활동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나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 관리에 노력하여 실질소득 감소와 구매력 하락 문제를 해결하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