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한알쌍7214
한알쌍7214

석유파동이 일어난 원인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EBS를 통해 봤는데

석유파동 일어나서 일부지역은 차량 전면 통제, 8기통 이상의 고급차 운행 금지,

공공건물에도 다시 연탄난로, 난방에너지 사용을 줄이기 위해 조기 겨울방학에 들어가게 되었고,

석유파동이 일어난 원인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란혁명으로부터 중동아랍권 국가들이 이슬람원리주의로 재무장하기 시작했고 서방세계에 종속되지 않기 위해 석유를 무기화하며 감산에 들어갔기 때문에 발생했습니다.

    • 1973년과 1979년 2차례에 걸쳐 겪은 오일쇼크입니다.

      1차는 아랍 8개국과 이스라엘 사이에서 발생한 중동전쟁에

      미국이 이스라엘을 도우며 승리하자 아랍국가들은

      미국 등에 원유 수출을 중단하고 가격을 인상하면서 벌어진 사태이며,

      2차는 이란의 정부 교체로 인하여 서방 세력과의 관계를 끊고

      원유 수출을 중단하면서 일어난 경제 충격입니다.

      배럴당 2~3달러에서 40달러까지 치솟자 서방 경제는 유래 없는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을 겪었습니다.

      한국경제도 심한 홍역을 치렀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석유파동은 석유 수급 부족에 따른 에너지 공급 부족 상황으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중동 지역의 정치적 불안정성: 중동 지역에서는 정치적인 불안정성이 지속되고 있어서, 이 지역에서 원유 생산이 감소하거나 중단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석유 수요 증가: 세계 경제의 성장에 따라 석유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과 인도 같은 신흥국들의 에너지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서, 석유 수급 부족이 예상됩니다.

      3. 석유 생산 감소: 석유 생산 시설의 노후화로 인해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석유 생산 시설을 개발하는 것도 비용과 기술적인 문제 등으로 어렵습니다.

      이러한 원인들이 겹쳐서, 석유파동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는, 에너지 절약, 대체 에너지 개발, 석유 수입 다변화 등이 있습니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차량 운행 제한이나 개인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한 친환경 캠페인 등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1973∼1974년 중동 전쟁(아랍 · 이스라엘 분쟁) 당시 아랍 산유국들의 석유 무기화 정책과 1978∼1980년의 이란 혁명으로 인한 석유 생산의 대폭 감축으로 석유의 공급이 부족해지자, 국제 석유 가격이 급상승하고, 그 결과 전 세계가 경제적 위기와 혼란을 겪은 사건을 말한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73~1974년 중동전쟁 당시 아랍 산유국들의 석유 무기화 정책과 1978년 ~1980년 이란혁명으로 인해 석유 생산의 대폭감축으로 석유 공급이 부족해졌고, 국제 석유가격이 상승하게 되어 세계가 경제적 위기와 혼란을 겪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일쇼크는 1970년대 유가 급등으로 발생한 글로벌 경제위기를 일컫는 용어입니다. 오일 쇼크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석유 수출국 기구(OPEC)는 1960년에 결성되었으며 오일 쇼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1973년 OPEC은 유가 급등을 초래한 욤 키푸르 전쟁에서 이스라엘을 지원한 국가들에 대한 일련의 석유 금수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1970년대에 석유에 대한 세계적인 수요는 급격히 증가했지만 공급은 따라잡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수요 증가와 제한된 공급으로 인해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지정학적 긴장도 큰 요인이었습니다. 지정학적 긴장: 냉전과 중동의 긴장도 오일 쇼크에 기여했습니다.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과 이란 혁명으로 인해 석유 공급이 더 중단되고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차 석유파동과 2차 석유파동이 있었습니다.

      석유 파동, 오일 쇼크(oil shock) 또는 석유 위기(oil crisis)는 1973년 아랍 산유국의 석유 무기화 정책과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각각 두 차례에 걸친 석유 공급 부족 및 가격 폭등으로 세계 경제가 큰 혼란과 어려움을 겪은 사건입니다.

      제4차 중동전쟁이 시작되면서 OPEC의 이집트와 사우디아라비아를 중심으로 리비아 아랍 공화국, 이라크, 이란 제국, 시리아, 튀니지가 손잡고 석유를 감산하는 동시에 원유 가격을 인상했다. 여기서 피해를 많이 입은 지역은 4차 중동전쟁당시 이스라엘을 지지했던 미국, 영국, 캐나다, 네덜란드, 일본.

      제3차 중동전쟁 시절부터 아랍권은 석유 무기화를 시도한 적이 있으나 크게 실패한 적이 있었다. OPEC에서 석유 금수 조치를 결의하고 수출을 중단했으나, 이란 제국과 아프리카 지역,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베네수엘라, 미국까지 증산하면서 효과가 없었을 뿐 아니라 시장점유율을 크게 상실했을 정도로 손해를 막심하게 입었기 때문이었다. 이후 OPEC는 시장 점유율 회복을 위해 증산을 해 원유를 헐값에 팔아야 하기도 했다.

      1979년 이란 혁명으로 팔레비 왕조를 무너뜨리고 이슬람주의에 입각한 공화국 신정부가 수립된 것이 원인이었다. 이란의 이슬람 혁명이 향방이 중동 국가에 어떤 결과를 미칠지에 대한 공포심이 2차 오일 쇼크의 원인이다.

      출처: 나무위키 석유파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