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민상담

대학교 생활

대체로소심한김치전
대체로소심한김치전

고시 등 여러 시험에서 정말 기출이 중요한가요?

전문직 시험, 공무원 시험, 수능 등 큼지막한 시험들에서 정말 기출이 제일 중요한까요? 시험들이 어려워지면서 응용도 많이 되는 거 같은데 기출만 마스터해도 합격권에 들어갈 수 있을까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티끌모아티끌
    티끌모아티끌

    네 중요합니다.

    그리고 기본입니다. 기본만 있어도 합격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기본기가 기출입니다. 꼭 기출 푸시길 바랍니다.

  • 기출을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긴 합니다.

    일단 3~5개년 정도의 기출만 회독하며 제대로 마스터하면 어느정도의 성적은 나온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시험 경향에 따라 킬러문항이 존재할 수 있어서 최신경향을 반영한 문제들도 대비를 하심이 좋을 듯 합니다.

  • 기출을 마스터한다고 해도 합격권으로 들어가는 것이 아닙니다

    그냥 그 시험을 준비하는 일반적인 사람 중 한명일 뿐입니다

    기출은 기본적으로 하는 것이고

    기출에 추가적으로 살을 붙여야지 합격권에 들어갑니다

    대부분 수험생들이 하는 것을 한다는 것이 합격권으로 들어간다면

    떨어질 시험이 없습니다

    특히 상대평가의 경우는 더더욱 그렇습니다

    절대평가의 경우는 기출만 열심히 해도 합격할 수도 있습니다

  • 시험을 보기전에 기출문제들은 모두 풀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옛날에 나왔던 기출보다는 최근 3~5년 정도 나왔던 기출을 풀어보시는 것이 좋고

    무조건 기출만 마스터한다고해서 합격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본적인 개념과 기출을 풀다보면 시험에 합격할 가능성은 올라가게 되는 것 같습니다.

  • 기출 시험을 풀어보는건 특히 중요합니다. 특히나 사회나 역사처럼 암기를 위주로 공부하는 건 이런 유형의 문제가 시험에 나왔다는건 다음 시험에서도 나올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니까요

  • 전 기출부터 파보라고 권장합니다

    결국 어느정도 반복되게 되어있고요

    특히 서양보다 동양에서는 창의성보다

    그냥 합격자 걸러내기 위한 

    시험을 위한 시험이 많습니다

  • 큰 시험일수록 기출이 중요한 건 사실이지만 기출만으로 합격권에 들어가는 구조라면 그 시험 자체가 의미가 없죠.

    기출은 출제자가 어떤 사고방식과 범위를 선호하는지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본 언어 같은 역할이고 여기서 핵심 패턴을 익혀야 응용문제를 처리하기 쉽습니다.

    최근 시험들은 난도도 높아지고 변형, 신유형이 많아져서 기출만 달달 외워서는 절대 점수가 나오지 않습니다.

    기출은 문제은행이 아니라 출제 원리와 흐름을 공부하는 자료에 가깝고 이를 바탕으로 비슷한 맥락의 새로운 문제에 대응하는 힘을 길러야 합니다.

    가출은 출발점이고 가장 강력한 기준이지만 그 위에 개념 정리, 응용 연습, 시간 관리가 샇여야 진짜 합격권 실력이 됩니다.

    기출을 기본으로 삼고 기출을 넘어서는 훈련을 해야 합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