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시가 총액, 완전 희석된 시가 금액이 다른 이은ㆍ??
코린이입니다.
가상화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얻고자 코인마켓캡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코인마켓캡에서 보니, 시가 총액과 완전 희삭된 시가로 시가 총액이 2가지로 구분되어 명시 되어 있는데 이 두가지 총액이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완전 희석된 시가 총액이 더 큰 이유와 왜 그런지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인마켓캡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최대 공급량이 전부 유통 중인 경우에는 시가총액이 제한됩니다.
완전 희석된 시가총액 (FDMC) = 가격 x 최대 공급. 최대 공급이 취소되면, FDMC = 가격 x 총 공급. 최대 공급 및 총 공급이 무한정이거나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완전히 희석된 시장 캡은 - -(으)로 표시됩니다.즉 현재 유통공급량이 90%인데, 이것이 100%가 되었을 때 완전 희석된 시가가 되느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최대 2,100 만 비트 코인인데, 현재 90%의 비트코인이 유통되고 있다면 이것은 BTC 일정가격의 비중으로는 90%의 가격밖에 안될 것입니다.
희석 된 시가 총액을 계산할 때는 비트 코인의 최대 공급량을 대신 고려합니다. 따라서 2100 만 달러에 현재 BTC 가격을 곱합니다. 이 합계의 결과는 희석 된 비트 코인의 시가 총액으로 100%공급량에 대한 시가총액이 나올 것입니다.
주식에서는 모든 주식 옵션이 행사되고 모든 전환 사채가 주식으로 교환되는 경우 시가총액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시가총액 - 현재 시중에 유통된 코인의 총합으로 계산된 시가총액
완전 희석된 시가 - 프로젝트에 계획되어 있는 코인이 모두 유통될 경우를 가정하여 계산된 시가총액
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잔망루피 입니다.
시가 총액은 현재 풀린 코인의 갯수로 계산된 시가총액이고, 완전 희석된 시가의 경우 계획된 코인이 모두 풀릴경우로 계산된 시가 총액입니다. 이 두가지의 차이 때문에 총액이 각각 다르게 나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