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간판탈출과 척추관 협착증에 대한 질문
다리저림과 허리도 조금 불편하구요. 가끔 오른쪽 고관절 부분이 찌릿함도 있는데요. 내시경 수술이 필요할까요? 아는 지인 의사분은 결국엔 수술이라고 조언해주시네요.ㅜ.ㅜ
그리고 사진상 협착은 전혀 없는지요?
안녕하세요. 남희성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결국은 수술이다. 이건 저는 좀 생각이 다릅니다.
허리를 관리하는 법에 대해서 지금까지 잘 모르셨던것 같고 지금부터라도 잘 관리해나가시면 수술 없이도 충분히 좋아지실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허리 관리 1번 원칙은 허리를 굽히지 않는 요추전만 자세의 유지입니다. 머리를 감거가 자기전에 세수만 해야하는 상황에서도 서서 샤워기 앞에서 씻어주시는게 허리를 굽히지 않게 하는 방법입니다. 이외에도 내가 허리를 앞으로 굽히는 활동이 뭐가 있는지 잘 살펴보시고 모두 허리를 굽히지 않는 자세로 바꿔주셔야합니다.
보여주신 MRI 상에는 척추관 협착증은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아래 첫번째 그림에 보시는것과 같이 B에서 보이듯이 검정색 신경뿌리 주변의 하얀색 뇌척수액이 공간 없이 비좁아지는 정도는 되어야 척추관 협착증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텐데 보여주신 MRI 에는 이런 모습은 없습니다.
정확하게는 제가 두번째로 올린 작성자분의 허리 MRI 사진중에서 빨간색 동그라미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을 확인해야 더 정확한 설명이 가능하긴 하겠습니다.
아래 두개 영상을 보시고 허리 관리에 대해서 감을 잡아보시기 바랍니다. 수술처럼 단기간에 좋아질 수는 없지만 시간을 들여서 충분히 회복할 수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잘 관리해나가실 수 있을겁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다리의 저림이나 허리 불편감 고관절의 찌릿함은 신경의 압박이나 근육의 긴장으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으며 내시경을 통한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고 비수술적인 치료방법을 통해서도 증상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보통은 비수술적인 치료방법을 통해 치료를 먼저 진행하지만 상태가 심하거나 통증이 심한경우에는 수술적인 방법을 먼저 고려해볼 수도 있으니 정확한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일단 평소 불편감이나 통증이별로없다면 수술적치료가 필요하지는않습니다 일단은 물리치료와같은 비수술적치료를통해서 치료받아보시고 불편감이나 통증이심해지거나 의사의 판단하에 수술이필요하다고 진단받는다면 수술을 고려해보시는게 좋습니다
만약 수술을 고려하고있다면 최소 3명의전문의와상담을받아보시고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다리저림, 허리 불편감, 고관절 찌릿함은 신경 압박이나 근육 긴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내시경 수술이 필요한지는 정확한 진단에 따라 달라지고 증상이 심해지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진을 통해 협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지만 구체적인 진단은 전문의의 검토가 필요해요!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추간판 공간이 줄어들어있고, 디스크 증상처럼 돌출이나 퇴행적 변화가 관찰되는 것으로 생각되는데요, 결국에 수술적 치료를 하더라도 보존적인 치료법을 먼저 시행하여 경과를 살펴보고 차도가 없는 경우 수술을 고려하는 것이 많기 때문에 우선 보존적 치료가 가능한 경우라면 수술은 조금 더 나중에 고려를 해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수술을 고려중이신 경우에는 가능한 여러 전문의들의 의견을 들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