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누리함
누리함23.03.28

흥선대원군이 쇄국 정책을 펼쳤는데 그 배경은 무엇인가요?

흥선대원군이 쇄국 정책을 펼쳤는데 그 배경은 무엇인가요? 안동김씨 일가 권력속에서 권력을 잡은 흥선대원권이 권력을 다시 잃을까봐 그랬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세기 유럽의 산업혁명이후 서양의 이양선이 조선 연해에 자주 출몰해 이들이 통상을 요구하면서 해금정책에 따라 그들의 요구를 단호하게 거절하나 조난된 선원 등에게는 먼 곳에서 온 사람들에게 최대한 관용을 베푼다는 유원지의 원칙으로 처리합니다.

    1860년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의 공격으로 베이징이 함락되고 청나라 함풍제가 피난 간 사실이 알려지며 조선의 조야에 위기감이 확산되었습니다.

    영국, 프랑스와 청나라의 강화를 중재한 러시아가 그 대가로 연해주를 획득하게 되며 조선은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게 됩니다.

    이 무렵 집권한 흥선대원군은 러시아의 위협을 막고자 프랑스 세력을 끌어들이려하나 실패하고 러시아의 국경 침범과 통상 요청이 기우였다는 것이 드러나고 마침 청나라에서 천주교를 탄압하였다는 소식도 전해집니다.

    천주교를 금지해야 한다는 대신들과 유생들의 주장이 이어지자 대원군은 천주교와 자신의 무관함을 과시하듯 천주교를 탄압합니다.

    대원군은 병인박해를 계기로 발생한 병인양요를 물리친 후 바다의 관문을 굳게 지킬 것이며 외국배는 삼가 통과할수없다는 비석을 덕진돈대 앞에 세워 폐관자수의 의지를 선포합니다.

    1868년 발생한 오페르트의 남연군묘 도굴사건은 서양인에 대한 반감을 부추겼으며 1871년에는 1866년 발생한 제너럴셔먼호 사건을 계기로 미국과 전쟁을 벌였습니다.

    신미양요 이후 대원군은 서양의 배에서 나는 연기와 먼지가 온 천하를 뒤덮어도 동방국의 광채는 의연하게 영원토록 빛나누나 라는 시를 짓고 양이가 침범하는데 싸우지 않으면 즉 화친하는 것이요, 화친을 주장하는 것은 나라를 파는 일이다 라는 척화비를 경향 각지에 세워 서양을 배척하는 정책을 더 강화했습니다.


  • 그동안 대원군의 쇄국정책에 대한 평가는 체제를 수호하고자 한 봉건적 측면, 반근대적 폐쇄성으로 보는 것이 주류였습니다.

    하지만 대원군의 대외정책이 ‘쇄국’이 아니라 반침략적 저항정책이었으며, 그 정책의 기초가 된 바탕이 대외적으로는 주권을 유지하고 대내적으로는 부국강병을 위한 민족주의였다는 평가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흥선대원군이 쇄국 정책을 펼친 배경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조선시대 후기에는 청나라와 일본, 러시아 등의 외교적 압력과 침략에 직면했습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 국방 강화와 국가 경제 발전이 필요해졌습니다. 그리고 이를 위해 흥선대원군은 쇄국 정책을 시행하였습니다.

    둘째, 안동김씨 일가와의 관계도 쇄국 정책에 영향을 ***습니다. 안동김씨 일가는 조선 후기에 권력을 쥐었으며, 이들은 농민과 중인 등 일반 백성을 착취하고 탈세를 일삼았습니다. 이에 대한 반발이 커지면서 흥선대원군은 안동김씨 일가의 권력을 제한하고, 공정한 세금 징수를 시행하기 위해 쇄국 정책을 시행하였습니다.

    셋째, 흥선대원군은 국내 경제 활성화를 위해 쇄국 정책을 펼쳤습니다. 쇄국 정책은 국내 산업 육성과 농민 생활 개선을 위한 경제 정책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정책은 조선시대 후기의 경제 발전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따라서, 흥선대원군이 쇄국 정책을 펼친 배경은 국방, 안동김씨 일가와의 관계, 국내 경제 발전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합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흥선대원군이 쇄국 정책을 한 이유는 서양과 계속 무역을 하면 그들이 우리를 침략하고 점령하려고 할 것이라는 확신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자체적으로 자강하여 충분히 그 차이를 극복 할 수 있다는 자신감도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오페르토 도굴사건, 신미양요, 병인양요 등을 통해서 점차 생각이 굳어 졌고 조선을 지키기 위한 방법 이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세계사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했고 서양은 산업혁명등을 거쳤는데 그 차이를 극복하기는 불가능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