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이자마진'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오늘도배웁니다.
은행의 수익 중 많은 부분은 '예대마진'에서 온다고 하는데요.
신문을 읽다가 보니까 '순이자마진'이라는 용어도 나오던데, '순이자마진'이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설명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순이자마진(Net Interest Margin, NIM)은 은행 등 금융기관이 자산을 운용해 낸 수익에서 조달비용을 뺀 나머지를 운용자산 총액으로 나눈 수치로, 금융기관의 수익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순이자마진이 높을수록 은행의 수익성이 좋다는 것을 의미하며, 낮을수록 은행의 수익성이 나쁘다는 것을 뜻합니다. 은행의 경영성과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안녕하세요.
순이자마진이란 은행 등 금융기관이 자산을 운용해서 얻은 수익에서 조달비용을 뺀 후 운용자산 총액으로 나눈 수치를 말합니다.
즉 금융기관이 얼마나 돈을 잘 벌고 있나를 나타내는 지표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참고 하십시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순이자마진에 대한 내용입니다.
순이자마진은 은행이나 기타 금융 기관에서 발생하는
이자 수입과 대출 기관에 지불한 이자에 차액을
가산 금애고가 비교해서 측정하는 것을 가리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순이자마진'은 금융기관, 특히 은행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는 은행이 대출을 통해 얻는 이자 수익과 예금 등에서 지급하는 이자 비용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 등 금융기관이 자산을 운용해 낸 수익에서 조달비용을 뺀 나머지를 운용자산 총액으로 나눈 수치로 금융기관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대마진은 예금과 대출의 금리차이에서 발생한 수익만 의미하지만, 순이자마진은 채권 등 유가증권에서 발생한 이자도 포함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순이자마진이라는 것은
은행 등 금융기관이 자산을 운용해 낸 수익에서
조달비용을 뺀 나머지를 운용자산 총액으로 나눈 수치로
금융기관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순이자마진은 은행이 돈을 빌려주고 받는 이자와 예금자에게 주는 이자의 차이에서 얼마나 이익을 남겼는지를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쉽게 말해 은행이 대출로 번 돈에서 예금자에게 준 이자를 뺀 나머지가 순이자마진입니다. 이 숫자가 높을수록 은행이 이자를 통해 더 많은 수익을 올리고 있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면 은행이 대출에서 4%의 이자를 받고 예금자에게 1%의 이자를 준다면 순이자마진은 3%가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