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법학과 가려면 학교에서 몇 등 해야하나요
제 친구의 친구가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나오셨더라고요.
이름만 들어도 어마어마한데 고려대에서 법학과를 가려면 전교 몇 등 해야하나요?
요즘은 대학교에 법학과가 없어지고, 주요대학에 밥학전문대학원이라는 로스쿨로 바뀌었습니다. 법학전문대학원에 갈려면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사람이 갈 수가 있기 때문에 고등학생을 갈 수가 없습니다. 다만 옛날의 고려대 법학과에 합격할 실력이라면 서울시내 각 고등학교 상위 1%이내의 성적은 유지해야 지원할 수 있었습니다.
고려대학교 법학과(현재 법학전문대학원이 아닌 학부의 경우 법학과로 입학 가능했던 시절)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입시 경쟁률과 성적 수준을 요구하는 학과 중 하나였습니다. 현재 고려대에는 법학과 학부 과정이 없고, 대신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질문이 과거 법학과 입학 기준에 대한 내용으로 보이니, 이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
고려대 법학과(학부 기준)의 입학 성적
1. 전교 등수 기준:
전국 상위 1% 이내에 들어야 입학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부분 전교 1~3등 수준이 고려대 법학과를 목표로 할 수 있었습니다.
2. 내신 성적:
내신 등급으로 환산하면 평균 1.0~1.2등급 수준이 요구되었습니다. 특히 주요 과목(국어, 수학, 영어, 사회)에서 고득점을 기록해야 했습니다.
3. 수능 성적:
법학과 입시는 수능 최상위권 성적이 필수였습니다. 보통 표준점수 400점 만점 기준으로 390점 이상이 요구되었고, 상위 0.1%에 해당하는 성적이어야 안전한 지원이 가능했습니다.
4. 특별한 전형:
수시 전형으로 합격한 경우에도 교내 활동, 논술, 면접 등에서 두각을 나타내야 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내신 성적이 압도적으로 우수해야 했습니다.
---
현재의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고려대 학부에 법학과가 더 이상 없기 때문에 법조인을 꿈꾸는 학생들은 다른 학부를 졸업한 후 로스쿨에 진학해야 합니다. 로스쿨 입시는 다음과 같은 요소가 중요합니다:
1. 학점(GPA): 학부에서 우수한 성적이 요구됩니다.
2. LEET 시험: 법학적성시험에서 상위 점수를 기록해야 합니다.
3. 영어 능력: TOEIC, TOEFL 등의 영어 성적이 필수입니다.
4. 면접 및 자기소개서: 로스쿨에 적합한 인재임을 입증해야 합니다.
---
결론
고려대 법학과 학부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과거 기준으로 전교 1~3등 수준의 성적과 수능 최상위권 성적이 필요했습니다. 현재는 학부 입학이 아닌 로스쿨을 통해 법조인이 될 수 있으며, 로스쿨 입시는 학점, LEET, 영어 능력, 면접 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