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철학

기막힌다람쥐80
기막힌다람쥐80

난장이가 쏘아올린공이 현대인에게 주는 교훈은 무엇인가요?

난장이가 쏘아올린공이란 책을 읽다보니 감동적인거 같긴한데 먼가 가난을 되물림하면 안된다는 교훈을 주는건지 먼가 가난한 사람은 계속 가난해 지는 현대에 안타까움을 이야기하는건지 잘 모르겠네요 물질만능주의를 경계하는 것도 일부 맞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활달한파리매77
    활달한파리매77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소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은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저자 조세프 콘래드가 사회적 불평등, 인간의 탐욕과 이기심, 동정심과 배려 등을 통해 인간의 본성과 사회적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작품에서 가난한 주인공이 가난과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희생하는 모습은 우리에게 가난한 사람들의 현실과 불평등한 사회 문제에 대한 안타까움을 느끼게 합니다. 이를 통해 사회적으로 약자인 사람들에 대한 동정심과 배려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물질만능주의를 경계하는 것은 일부로서 맞을 수 있습니다. 물질만능주의는 물질적인 부와 소유에 대한 지나친 열망과 중요시함을 의미합니다. 이 작품은 우리가 물질적인 풍요에만 집착하고 다른 사람들의 어려움을 간과하는 것이 문제라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작품을 통해 인간의 본성과 탐욕이 가난한 사람들을 억압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야기할 수 있음을 경계하고, 동정심과 배려를 바탕으로 사회적인 공정성과 평등을 추구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작품의 해석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며, 각자의 관점과 경험에 따라 다양한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참고하셔서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공> 의 작가는 작품 속에서 경제적으로 부유한 자와 가난한 자를 대립시킴으로써, 1970년대 우리나라의 비정상적인 사회 구조를 착취와 피착취의 구조로 보여주고 있습니다.아버지는 지섭에게서 이 땅은 죽은 땅이므로 달나라로 떠나자는 말을 듣습니다. 달 나라는 갈 수 없는 곳입니다. 따라서 지섭의 말은 실현 불가능한 것(달나라)을 추구할 수밖에 없는 현실의 비참함을 더 강하게 나타내고 있습니다.이 소설에서 난쟁이는 왜곡된 사회 경제적 분배구조 속에서 극단의 경제적 궁핍과 고통을 지니며 살아간 당시 소외된 계층이고 그들은 가난하기 때문에 교육 수준도 낮고, 그렇기에 정신적으로 성숙되지 못한 '난쟁이'에 해당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