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의 아이언돔은 우리나라의 방공망과
이스라엘의 아이언돔이 이번 이란의 보복공습에
많이 뚫렸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의 방공망은. 이스라엘의
아이언돔과 비교했을때 어떤수준인가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아이언돔은 단거리 로켓 및 포탄 요격에 특화된 시스템으로 높은 요격률을 자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방공망은 아이언 돔과는 다른 개념의 다층 방어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아이언 돔처럼 특정 지역을 돔 형태로 방어하는 방식보다는 다양한 종류의 미사일과 요격 시스템을 조합하여 넓은 영역을 방어하는 방식입니다.
우리나라는 패트리엇 미사일(PAC-2, PAC-3)과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천공)등을 운용하고 있으며, 장거리 요격 체계 개발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KAMD)구축에 힘쓰고 있습니다.
아이언 돔은 단거리 위협에 효과적이지만, 이란의 탄도미사일 등 장거리 및 다양한 종류의 미사일 공격에는 한계가 있을수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방공망은 이러한 다양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층위의 방어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각자의 위협 환경에 맞춰 다른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볼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일단 우리 나라의 경우에는 단거리 보다는 다층 탄도탄을 요격하는 것에 더 그 목적을 두고 있고, 실전 경험 부분에서는 이스라엘 보다는 못합니다. 실전 대응력 부분이 사실 주된 필요 요인이긴 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이스라엘처럼 특화된 아이언돔 수준의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 시스템은 수도권 등 주요 시설을 방어하는 목적으로 설계 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더 많은 표적을 동시에 교전할 수 잇는 체계 개발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방공망은 주로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천궁(중거리 요격체계)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아이언돔은 단거리 로켓 요격에 최적화된 반면 한국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대응에 더 집중돼 있습니다.
아이언돔은 실전에서 많은 성과를 보였지만 대량 포화 공격에는 제한이 있음이 드러났습니다. 한국도 포화 공격에 대비
해 '한국형 아이언돔'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현재로선 이스라엘보다 실전 경험은 부족하지만 기술적 수준은 유사하거나
발전 중이라고 보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