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단정한원숭이67
단정한원숭이67

기업 차입금 공시가 호재인가요?

안녕하세요

기업들 차입금 확보? 공시가 호재인가요?

보통 사업 확장 같은거 하려고 어디서 돈 끌어오느거 같은데 이게 호재로 작용할까요? 아니면 주가에 별 영향이 없는거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업의 차입금 공시는 어떠한 용도로 차입을 하는지에 따라서 달라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해당 기업의 차입이 단순하게 운영자금의 부족으로 인해서 원자재 매입자금용도라면 호재라기 보다는 악재에 가깝게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업 차입금이 애플이나 삼성전자와 같은 대기업과의 신규계약으로 인해서 시설투자 목적용도라면 신규 발주가 발생하여 기업의 매출이 증가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면서 호재로 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즉, 기업이 어떠한 목적과 어떠한 용도로 차입을 하는지에 따라서 호재인지 혹은 악재인지가 구별된다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업의 차입금 공시의 호재여부는 차입금을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호재와 악재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매출증가에 따른 시설자금으로 사용되는 차입금은 호재로 작용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차입금이 많다는건 기업입장이나 투자자 입장에서 부담이지만 단기젹으로 차입금을 통한 신사업확장등으로 호재로 작용할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단기적인 대출 목적의 경우, 기업이 금융 기관 등으로부터 짧은 기간 동안 대출을 받아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대출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기업의 경영활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금리 등의 부담이 적을 경우, 대출금 공시는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장기적인 대출 목적의 경우, 대출금을 이용하여 장기적인 투자 등에 활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대출금을 잘 활용하여 높은 수익을 창출하면 호재로 작용할 수 있지만, 대출금을 투자 등에 실패하여 대출금 상환 부담이 커지는 경우 불이익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업이 차입을 하였다고 무조건 악재로 받아들이는 것은 아닙니다.

      기업이 차입하는 단기차입금은 일시적으로 유동성 위기에 몰릴 때 이를 모면하는 과정에서 증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의 단기차입 목적은 '운영자금 마련'이기 때문에 대부분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지는데요

      차입금의 운용목적이 운영자금이 아니라, 연구개발이나 시설투자라면 오히려 호재로 작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유동성 위험 때문에 주가가 많이 하락한 종목의 경우 차입금을 통해 재정의 숨통이 트인 경우 경영 회복 기대감에 주가가 오르기도 합니다. 주가의 위치와 자금 운용목적 등을 함께 살펴보아야 하는 이유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단기 차입금 비중이 높다는 것은 재무 상태가 불안하다는 의미로 기업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차입금과 같은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자금을 조달하였다는 것으로

      어떠한 투자를 할 것이며 사업을 확장할 것인지 등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이며 차임금을 끌어들였다고 하여 무조건 호재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