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에서 낭만주의 작가들이 개인의 감정을 중심 주제로 삼은 이유
낭만주의는 이성보다 감정을 더욱 중시했었습니다. 낭만주의 작가들이 개인의 감정을 중심 주제로 삼은 주된 이유는 무엇인지 그 시대적 배경과 예술적 의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낭만주의는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걸쳐 유럽에서 일어난 예술 사조로 게몽주의와 산업 혁명으로 인해 인간이 이성 중심의 사회 속에서 기계처럼 살아가게 된 현실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낭만주의 작가들은 인간의 내면적 감정과 상상력을 통해 잃어버린 인간다움을 회복하고자 했습니다. 그래서 사회나 제도보다는 개인의 감정, 자유, 상상, 자연과의 교감을 문학의 중심 주제로 삼았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이성보다 감정을 중시하며 인간의 주관적 체험을 예술의 원천으로 보았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닙니다. 낭만주의는 예술이 개인의 내면세게를 표현하는 자율적 창조행위임을 강조함으로써 이후 사실주의 , 상징주의, 현대문학으로 이어지는 문학 발전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낭만주의는 대부분의 예술 사조와 마찬가지로 기성세대에 대한 반발로 시작 되었습니다.
낭만주의 이전 시대를 지배하던 사조는 고전주의로
이미 예술의 정점은 고대 그리스로마 시절에 이뤄졌기 때문에 이를 따라 하는 것이야 말로 최고의 예술이라주장했습니다.
이런 무개성적이고 귀족중심적이던 고전주의에 저항하는 의미로
개인적인 개성을 들어내는 것에 몰두한 것이 낭만주의이며
가장 개인적인 것은 개인의 심리이기 때문에 감정묘사가 두드러지고
유럽과 기독교를 중심으로 하는 헤게모니에서 벗어나기 위해
동양철학이나 오컬트 등에 몰두하기도 했습니다
참고로 한국의 낭만주의 문학은 3.1운동을 비롯한 독립운동의 연이은 실패에절망한 문학가들이 많았기 때문에 암울한 정서가 뚜렸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