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니를 할 수 없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요?
나이가 들어 치아가 안 좋게 되면 틀니를 많이 하잖아요 하지만 틀니를 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고 하던데 틀니를 못 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치조골 소실이 너무 많이 있는 경우에는 틀니를 잡아줄 수 있는 조직이 부족하여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즉 틀니를 잡아줄 수 없을 정도로 치조골 소실이 크다면 틀니조차 힘들 수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틀니를 못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잇몸뼈가 지나치게 녹으면 고정이 잘 안되어 틀니를 못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치과의사입니다.
보통 임플란트를 못하는 경우는 많아도
틀니를 못하는 경우는 굉장히 드뭅니다.
틀니를 못할 정도면 구강에서 치조골이 거의 얷다시피 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잇몸뼈가 많이 없어진 아래치아의 틀니에서 틀니가 잘 붙어있지 않아 틀니를 낄 수 없는 상태가 간혹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 임플란트를 몇개 심고 틀니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대부분 틀니를 하실수 있습니다. 틀니는 잇몸뼈가 아닌 잇몸에서 유지력을 얻기 떄문에 못하는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
틀니를 못하는 경우는 아니지만 무치악 상태로 오래 지내다 보니 잇몸뼈가 많이 녹았고 잇몸도 너무 얕다면 틀니를 맞춰도 사용을 잘 못하고 적응을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예 틀니를 못 만드는 경우는 치과용 재료 등에 심한 알러지가 있는 경우 정도를 제외하면 없을 것 같습니다. 오히려 치아 결손부 수복 치료라는 공통점이 있는 임플란트와 비교했을 때 임플란트가 훨씬 못하는 경우가 많고 임플란트를 못하는 상황이면 틀니라는 두번째 옵션이 존재한다고 설명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틀니는 잇몸 뼈에 얹혀져서 기능을 하게 됩니다 잇몸 뼈가 너무 없다면 틀니를 지지하고 있는 힘이 약하기 때문에 틀니가 쉽게 탈락을 할 수 있습니다.
틀니는 잇몸 뼈 뿐만이 아니라 주변 근육으로 인해서 잡아 줄 수 있기 때문에 아예 하지 못하는 경우는 많이 없으며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 틀니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환자가 어떻게 잘 쓸 수 있는지가 틀니 성공 여부에 관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