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용체가 많아지면 호르몬과 결합되는 량도 많아지나요?
또 반대로 생각하면 수용체에 결합하는 량인 호르몬 수치는 변화가 없으면 수용체가 많아졌다고 해도 결합되는 량에는 변화가 없을거 같기도 하네요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용체가 상향조절된 상태일 때 호르몬 수치가 조금만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더 쉽게 하향조절되거나 상향조절될 수 있습니다. 이는 수용체가 많아지면 리간드(호르몬의 신호물질)가 많아지고 이에 따라 호르몬 수치가 일정해도 리간드가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용체가 많아지면 결합되는 량도 많아지게 됩니다.
그러나 반대로 생각하면 수용체에 결합하는 량인 호르몬 수치는 변화가 없더라도 수용체가 많아졌다고 해도 결합되는 량에는 변화가 없을 수 있습니다. 이는 수용체가 많아지더라도 호르몬 수치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용체가 많아지더라도 결합되는 량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이는 일반적인 상황이며 호르몬 수치와 수용체 수가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복잡한 상호작용에 따라 예외적인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점을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수용체가 많아지면 호르몬과 결합되는 양도 많아질 수 있습니다. 수용체는 세포 표면에 위치한 단백질입니다. 호르몬이 수용체에 결합하면, 이를 통해 세포 내부에서 신호 전달이 일어나며, 이것이 다양한 생리작용을 유발합니다.
수용체의 수가 많을수록 호르몬과 결합하는 단위면적당 수용체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호르몬과 결합되는 양도 많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용체의 수가 적은 경우보다 호르몬의 효과가 적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수용체의 수와 호르몬과 결합하는 양 사이에는 직접적인 선형적인 상관관계가 있지는 않습니다. 수용체의 수가 늘어나도, 호르몬과 결합하는 양이 증가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는 수용체와 호르몬 간의 결합 상호작용이나, 호르몬의 생체적 대사 등 여러 다른 요인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수용체가 상향조절된 상태라면 호르몬수치가 조금만 변화하더라도 더욱 쉽게 상하향 조정되기 마련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