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

통화량에서 m1 m2의미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통화랴우을 이야기하때마다 등장하는 m1 m2라고 부르는 용어들이 있읍니다.

이는 어떤의미지 궁금합니다.

고민 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주의 경제학에서는 신용창출이 핵심입니다 즉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본원통화가 시중의 은행으로 흐르게 되고 이들이 다시금 신용창출을 통해서 통화량이 본원통화보다 몇배 몇십배가 증가하는 구조입니다.

    이에 M1통화는 이런 신용창출을 통해서 증가한 통화량을 가늠하고자 본원통화이외에 일반적인 가계나 기업이 순전히 보유한 실물통화와 그리고 언제든지 출금이나 입금이 되는 요구불예금의 보통예금이 추가적으로 포함이 됩니다.

    여기서 추가적으로 범위를 넓힌게 조금 단기간에 현금 유동성이 쉬운 M2개념으로 M1전항목이외에 정기예금이나 정기적금과 같은 저축성 예적금 그리고 은행들이 단기적으로 예치하는 MMF등의 상품을 포함한 개념이 M2통화개념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M1은 협의통화라고 부르고 현금과 요구불예금 등 즉시 사용 가능한 자산을, M2는 광의통화라고 부르고, M1에 2년 이내 단기 예·적금과 수익증권 등을 포함한 광의의 통화량을 의미합니다. M1은 가장 유동성이 높은 자산으로, 시장 자금 흐름을 즉각 반영합니다. M2는 단기 예금과 금융상품을 포함해 유동성이 낮지만, 시중 자금 총량을 더 포괄적으로 보여줍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M1, M2에 대한 내용입니다.

    M1, M2 모두 공히 경제에서 통화량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M1은 주로 현금과 요구불 예금을 합한 것으로 유동성이 매우 높은 통화이고

    M2는 주로 M1에 더해서 저축성 예금, 정기 예금, 머니마켓펀드 등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낮은 자산까지 포함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M1은 현금과 어넺든 인출 가능한 요구불예금 등 실물 경제에서 즉시 사용 가능한 돈을 뜻 합니다. M2는 M1에 저축성 예금, 정기예금 등 단기적으로 현금화가 가능한 금융상품까지 포함한 광의 통화량입니다. M1이 유동성이 높은 “즉시 사용 가능한 돈”이라면, M2는 여기에 예적금 등 ”조금 묶여 있지만 쉽게 현금화할 수 있는 돈“까지 합친 지표입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m1은 주로 즉시 사용 가능한 돈을 의미합니다. 현금이나 예금 등에 들어있는 금액 등을 나타냅니다. m2는 여기에 추가로 단기 금융상품까지 포함한 유동성을 의미합니다. 정기예금/정기적금 등 가까운 시일 내에 현금화 가능한 자산을 포함한 개념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통화량을 얘기할 때 자주 등장하는 M1, M2는 돈의 유동성에 따라 통화의 범위를 구분한 경제 용어입니다.

    M1은 언제든 바로 꺼내 쓸 수 있는 가장 유동성이 높은 돈을 뜻하며, 현금(지폐·동전)과 은행에 맡긴 '요구불예금'(보통예금, 당좌예금 등)을 포함합니다.

    M2는 M1에 일정 기간 예치해야 하는 '정기예금', 단기 금융상품 등 비교적 빨리 현금화할 수 있는 돈까지 더한 금액으로, 현실에서 실제 경제활동에 쓰이는 넓은 범위의 통화입니다.

    쉽게 비유하자면, M1이 언제든 지갑에서 쓸 수 있는 돈이라면, M2는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하지만 필요할 땐 꺼내 쓸 수 있는 예금까지 아우른 개념입니다. 경제 뉴스 속에서 M1, M2가 자주 언급되는 이유는 이 숫자가 경기 흐름을 읽는 중요한 단서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