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10

알로 태어났는데 오리너구리는 왜 포유류일까요?

안녕하세요. 포유류는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낳고 젖을 먹이는 종이라고 알고 있어요. 그런데 오리너구리는 물갈퀴와 부리를 가지고 있지만 파충류와 조류의 경우처럼 알로 태어났는데 왜 오리너구리는 포유류라고 하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상현 전문가blue-check
    이상현 전문가22.10.12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리너구리도 마찬가지로 젖샘을 가지고 있기때문입니다.
    포유라는 말 그대로 젖샘을 가진 경우 포유류로 분류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포유류는 알을 낳는 단공류를 포함하여 새끼에게 젖을 통하여 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동물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포유류의 정의는 생각보다 복잡하여 여러 조건(새끼, 수유, 털, 털의 변화로 비늘 및 가시 등)을 따져 포유류인지 아닌지를 판단합니다. 그래서 오리너구리는 알을 통해 새끼를 낳지만 새끼에게 수유를 하여 양분을 공급하기 때문에 포유류에 속합니다. 알을 낳는 포유류는 바늘두더지도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오리너구리는 말씀하신대로 젖을 먹습니다.

    포유류는 젖을 먹고 크는 동물을 말하기 때문에 오리너구리는 포유류가 맞습니다.

    마찬가지로 고래도 젖을 먹기 때문에 포유류로 분류됩니다.


  • 오리너구리가 포유류로 여겨지는 이유는 젖샘을 가지고 있고, 털이 나며, 중이에 3개의 뼈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각각의 특성은 오리너구리를 포유류로 정의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오리너구리는 현대의 포유류가 출현하기 수백만 년 전에 존재했던 고대의 포유류 집단인 단공류에 속합니다. 실제로 오리너구리는 포유류에 속하지만 유전적으로는 포유류, 조류, 파충물이 혼합돼 있다고 합니다. 오리너구리는 많은 조상들의 원래 특징들을 보존해왔는데, 이는 아마도 그들이 살고 있는 환경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하는과정에서 그렇게 진화했을을 것입니다.


  • 다양한 생물의 특성상 칼 같이 나눌 수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오리 너구리는 포유류의 전형적인 특징을 갖추기 때문에 포유류입니다.

    예를 들면 젖샘과 털이 있고 귓 속에 3개의 뼈를 갖추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