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똑똑그대로멈춰라
똑똑그대로멈춰라23.09.02

고종 황제가 아관파천을 할 수 밖에 없었던 필연적 이유가 있나요?

1896년2월에 고종 황제와 왕세자가 한양의 궁을 떠나 약 1년간 러시아 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겨가는 일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학창 시절 교과시간에는 단순히 신변의 위협을 느껴서 그랬다는 말만 들었습니다. 그런데 이것 말고도 또 다른 이유는 없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2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당시 일본이 을미사변으로 대놓고 궁궐에 침입해 명성황후를 시해당하자 언젠가 자신도 일본에게 죽임을 당할 것이라 신변에 불안을 느낀 고종은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하는 아관파천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 이유는 러시아의 힘을 빌려 일본 세력을 물리치려 하였기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종은 일찍부터 많은 변란을 겪어야 했습니다. 1882년 임오군란 때 군병들이 궁궐에 들이닥쳐 왕비를 헤치려했고 1884년 갑신정변때 한밤중에 들이닥친 개화당 인사들에게 이끌려 이리저리 끌려다녀야했습니다.

    이러한 고종의 불안감을 극단에 까지 치닫게 한 사건이 을미사변입니다.

    을미사변 이후 고종은 사실상 궁궐에 감금 된 상태였고 경복궁을 경비하던 조선의 병력도 친일적인 개화파 정부의 통제를 받고있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결론적으로 아관 파천은 러시아와 일본 간의 파워 게임에 조선의 왕이 놀아난 사건 입니다. 당시 친일 세력에 눌려 있던 명성 왕후는 유럽 · 미국 공관과 밀접한 접촉을 가지며 친미 · 친러적 경향을 보이던 정동파(貞洞派) 인사들이 득세하기 시작하였는데 또한 러시아공사 베베르(Weber,K.I.) 역시 미국공사와 재한 미국인을 포섭하고 명성 황후 세력에 접근하여 친러 정책의 실시를 권유하였다고 합니다. 이에 친일 세력은 급격히 세력을 상실하며 김홍집 내각 붕괴되었고 그 후 일본공사 이노우에〔井上馨〕의 매수 정책에 따라 김홍집 내각이 성립되었지만, 명성 황후 세력과 친미 · 친러파가 요직을 장악하였습니다. 내각은 일본의 주도하에 이루어졌던 개혁 사업을 폐지하고 친일파를 축출하였는데 또한 일본에 의해 육성된 훈련대마저 해산당할 위기에 처하자, 신임 일본공사 미우라〔三浦梧樓〕는 1895년 10월 8일에 일본인 낭인과 훈련대를 경복궁에 침입시켜 명성 황후를 시해하는 을미 사변을 일으켰고 을미사변 이후 신변의 위협을 느끼던 고종과 측근 인사들의 요청에 러시아공사 베베르가 동의하여 비밀리에 고종과 왕세자가 경복궁을 떠나 러시아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긴 사건입니다 . 아관파천으로 인해 친일 내각이 무너졌고, 고종은 경운궁 환궁 전 1년 동안 러시아공사관에 머물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고종 황제가 아관파천을 항수할 수밖에 없었던 필연적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러시아의 군사적 위협

    아관파천 당시, 러시아는 조선에 대규모 군대를 주둔시켜 놓고 있었습니다. 러시아는 조선을 자신의 영향권으로 완전히 편입시키기 위해 이러한 군사적 위협을 사용했습니다. 고종 황제는 러시아의 군사적 위협에 맞서기 위해 아관파천을 항수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청나라의 무능

    아관파천 당시, 청나라는 조선의 보호국이었습니다. 그러나 청나라는 러시아의 침략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습니다. 청나라는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패배했으며, 조선을 러시아에게 내주는 조약을 체결했습니다. 고종 황제는 청나라의 무능에 실망하여, 아관파천을 항수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민중의 저항

    아관파천은 조선 민중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민중들은 아관파천을 조선의 국권을 빼앗는 반역 행위로 규정하고, 궐기하여 반대 운동을 벌였습니다. 고종 황제는 민중의 저항을 무시하고 아관파천을 수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항수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러한 필연적 이유들로 인해, 고종 황제는 아관파천을 항수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아관파천은 조선의 국권을 빼앗으려는 러시아의 침략이었으며, 고종 황제는 이러한 침략에 맞서 조선의 국권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


    아관파천의 항수는 조선의 국권을 지키는 데는 성공했지만, 조선의 근대화를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러시아는 조선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조선의 근대화를 방해하였고, 이는 조선의 근대화가 지연되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