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세 아이 환절기 감기가 다른 질환으로 악화될까 걱정됩니다.
4세 아이를 키우는 아빠입니다.
감기가 오래가면 중이염이나 폐렴 같은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들어서 걱정입니다. 실제 감기가 얼마나 자주 얼마나 오래 지속되면 병원에 가야하는지, 정확한 기준은 없겠지만 어느정도 팁을 받을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유아기 감기는 대부분 바이러스성으로 7-10일 내 자연 호전되지만, 일부는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병원 방문이 필요한 증상으로는 38.5°C 이상의 고열이 3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 호흡 곤란이나 숨소리가 거칠어지는 경우, 식사량이 현저히 감소하거나 수분 섭취를 거부하는 경우, 귀를 자주 만지며 보채는 모습(중이염 의심), 기침이 2주 이상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특히 아이가 평소보다 심하게 기운이 없거나, 콧물이 푸른색/노란색으로 변하고 1주일 이상 지속될 때도 진료가 필요합니다. 면역력 강화를 위해 충분한 수면과 균형 잡힌 식사, 적절한 수분 섭취를 유지하고, 손 씻기를 습관화하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아이들이 환절기에 감기에 걸리면 부모로서 많이 걱정되실 거라 생각합니다. 특히 감기가 오래 갈 경우 중이염이나 폐렴 같은 합병증으로 이어질까 봐 염려하시는 마음도 충분히 이해합니다. 일반적으로 어린 아이들은 면역 체계가 아직 성숙하지 않아 더 자주 감기에 걸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감기가 오래가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대부분은 별다른 문제 없이 회복됩니다. 보통 감기는 1에서 2주가량 지속되며,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이 호전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감기가 너무 오래 지속되거나 증상이 심해지면 병원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고열이 나고 기침이 심하거나, 호흡이 어려워 보이는 경우, 기분이 계속 좋지 않아 보이는 경우에는 병원에 데려가서 진찰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감기 증상이 10일 이상 오래가면서 호전되지 않는다면 병원을 방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귀가 아프다고 하거나 흉부 불편감이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평소 아이의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면과 영양 있는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을 자주 마시게 하여 몸이 충분히 수분을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것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아이가 아프다면 부모님 자신도 지치기 쉽지만, 건강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이와 같이 있을 때 손을 잘 씻고, 청결을 신경 쓰는 것도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감기가 폐렴으로 간다기보다는 폐렴초기가 감기랑 구별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치료하고 1주일 전후가 지났음에도 증상의 호전이 없는 경우에는 폐렴의 가능성을 고려해보실 수 있습니다.
물론 중이염의 경우는 귀가 아프다고 이야기를 합니다.
하지만 단순하게 생각하시면 감기증상이 있을 때 자녀분을 병원에 데려가시면 됩니다.
그러면 담당선생님이 약을 처방해주고 언제 다시 오라고 이야기하실 것입니다.
그대로 하시면 이후 선생님이 폐렴 여부를 확인해주실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4세 아이가 감기 증상을 보일 때, 부모로서 걱정이 많으시겠지만, 감기가 반드시 중이염이나 폐렴으로 이어지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환절기에는 면역력이 떨어지기 쉬워 감기 외에도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의 증상을 잘 살피는 것이 중요하죠
일반적으로 감기 증상은 7일 이내에 호전되며, 기침이나 콧물이 10일 이상 지속될 경우에는 병원에 가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병원 방문을 고려해보세요
발열이 3일 이상 지속되거나 갑자기 고열(38도 이상)이 나오는 경우.
기침, 콧물이 심해지거나 호흡이 힘들어 보이는 경우 (숨을 쉴 때 쌕쌕거림, 입을 벌리고 숨을 쉬거나, 빠르게 숨을 쉬는 경우 등).
중이염의 징후가 보이는 경우 (귀를 자주 만지거나 귀에서 고름이 나오는 경우).
식욕 부진, 구토, 설사 등 다른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
아이의 상태가 급격히 나빠지는 경우, 예를 들어 무기력하거나 극도로 피로해 보이는 경우.
이 외에도, 아이의 감기가 너무 오래 지속되거나, 증상이 심해질 경우 빠르게 병원에 가서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기 자체는 보통 자연스럽게 호전되지만, 위와 같은 경우에는 감기 외의 다른 질환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