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조선은 병자호란이유 어떤 외교적 정책을 펼쳤나요?

조선은 병자호란에서 청나라에게 패배한후삼전도의 굴욕까지 겪었는데요 그후 조선은 그냥일방적으로 청나라에게 당하기만했다고 생각하면 되나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청의 사대 요구를 거부하면서 발발한 병자호란에서 조선은 굴욕적인 군신 관계를 맺고 조공을 바치는 사대 체제를 공식적으로 받아들였습니다. 또한 조선의 국왕은 청 황제로부터 책봉을 받고 왕자와 대신들이 볼모로 보내야만 했습니다. 그리고 명과의 관계는 단절되었습니다.

    하지만 표면적으로 조선은 청에 복종하엿지만 강한 반청 감정으로 "북벌론"이 제기되었으며, 효종 시기에는 군사력을 강화하고 성과을 수리하는 등 북벌운동이 추진되었습니다. 그렇지만 18세기 교역 과정에서 청의 문물을 수용자는 북학론이 대두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병자호란 이후 조선과 청의 관계는 군신 관계로 변화하면서 조선의 외교 정책이 크게 달라졌습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조선은 청나라와 공식적인 외교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내부적으로는 반청 정서를 강조하며 명나라에 대한 충성을 지속하는 이중적인 외교 전략을 펼쳤습니다.

    이후 청나라에 대한 적대감이 강했던 조선에서는 병자호란 이후 북벌론이 대두하였습니다.

    이는 조선이 군사력을 키워 청을 정벌하고 명나라를 회복하자는 주장으로, 효종 대에 가장 적극적으로 추진되었습니다.

    하지만 청나라의 강대함과 조선의 군사력 부족,

    붕당 정치로 인한 갈등으로 인해 결국 북벌론은 실현되지 못했습니다.